안녕하세요, 한국의 노동자들 - 노동인권 변호사가 함께한 노동자들의 법정투쟁 이야기
윤지영 지음 / 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제공


✒️ p.207 산 사람은 살아야지. 사람의 죽음을 사건으로 접할 때면 나는 늘 먼저 이 생각을 했다. 죽은 사람은 말이 없는데, 산 사람은 죽은 사람의 과거에 갇혀 지낸다.


안녕安寧하냐는 인사말은 사실 무탈하고 편안하냐는 뜻의 말이다. 『안녕하세요 한국의 노동자들』 이라는 제목도 얼핏 보면 노동자들을 향한 단순한 인사말로 보이지만 이 책이 노동자들의 눈물과 인권변호사의 땀으로 쓰인 법정 투쟁기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한국의 노동자들이 무탈하고 편안하기를 바라는’ 기원문에 가깝다. 실제로 저자도 그들이 정말로 '안녕하길' 바라며 책 제목에 인사말을 넣었다고 프롤로그에서 언급한다.


흔히 사람들은 노동자의 투쟁을 떠올리라고 하면 말 그대로 ‘길거리에서 데모하던’ 시절을 떠올리기 쉽다. 전태일이 분신하고 박노해가 잡혀가던 사오십년 전 20세기의 이야기. 그러나 노동은 인간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고 편법과 악습으로 점철된 노동현장에서 사람들은 아직도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 직원이 숨진 것은 2016년 5월이었고 영화 <다음 소희>의 모티브였던 전주 콜센터 현장실습생 자살 사건은 2017년 1월이었다. 특성화고 학생이었던 故 홍정운 군이 숨진 것이 2021년, 특정 기업의 제빵공장에서 기계 끼임으로 직원이 숨진 것이 2022년이다. 모두 10년도 되지 않은 일들로 21세기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에도 일을 하다 사람이 죽는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의 산업재해 사고사망자수는 812명이다. 유족급여를 인정받은 경우만 따졌을 때의 숫자고, 산재처리가 되지 않은 노동자까지 합하면 그 수를 훌쩍 넘을 것이다. 


게다가 노동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권탄압은 안전사고만 있는 것이 아니다. 폭언이나 갑질, 부당해고나 임금체불도 있다. 『안녕하세요 한국의 노동자들』에서는 이런 여러 가지 사례들 중 직장 내 성차별, 현장실습생 착취, 노조 탄압 등 총 11개의 투쟁사례를 다룬다. 이미 잘 알고 있는 사건도 있었고 아닌 사건도 있었는데, 회사와, 또는 법과, 또는 사회와 싸우는 이야기를 보면서 울화가 치밀기도 했고 갑갑하거나 화가 나기도 했다. 직장 내 괴롭힘으로 스스로 생을 마감한 20대 캐디의 이야기와, 그런 동생의 억울함을 풀기 위해 투쟁하는 언니의 이야기에서는 절로 눈물이 쏟아져 나왔다. 슬프다 못해 괴로워지다가도 결국 이 투쟁들로 인해 한 걸음이라도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마음이 조금 괜찮아졌다.




한국은 아직 노조 인식이 나쁘다. 임원이나 고용주뿐만 아니라 같은 근로자들마저도 막연하게 ‘노조는 나쁜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 사람들은 투쟁의 사례를 안타까워하거나 비난하기만 할 뿐 그동안 투쟁해 온 사람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근로현장이 만들어졌다는 생각까지 잘 하지 않는다. 2025년 현재에도 거통고 투쟁이 진행 중이다. 부당해임에 대해 복직을 요구하던 지혜복 교사는 불과 2주 전 시위 중에 연행당했다. 노란봉투법은 아직도 통과되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이런 ‘투쟁의 역사’를 알려주는 글과 사람이 늘 필요하다. 일하다 죽지 않고,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으며, 정당한 권리 주장이 탄압받지 않는 세상을 위해 부단히 노력해온 윤지영 변호사님의 이야기가 책에 고스란히 들어있으니 ‘노동자’라면 누구나 일독하기를 권한다. 한 명이라도 더 이 역사를 알 필요가 있다. 죽지 말고 상처받지 말자. 주저앉고 좌절하는 대신 소리치고 앞으로 나아가자. 투쟁.



*출판사 클(@book_kl ) 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히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