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이란 무엇인가 - 이대 석좌 교수·전 인권 대사 박경서의 교양학 강의
박경서 지음 / 미래지식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그 동안 우리는 선진국의 기준을 1인당 GDP와 한국이 국제기구의 수장이 되는 것에 두어 왔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 그동안 인권이란 것에 관심을 두지 못했던 차에 이 책을 읽고 나서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는 국제사회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선진국의 대우를 받을 만한 자격이 있을까? 그런 것을 덮어두기 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외면하고 있지는 않나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이 책에서는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특히 인권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작가의 시선에서 설명하고 있다. 내가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그 사람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 인권존중의 출발은 될 수가 있으나 그것이 인권이 잘 보호되고 있는 나라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인권문제의 현실은 확실히 예전보다는 나아졌다고 생각은 들지만 아직도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고 작가는 지적하고 있고 나 역시 그의 생각에 동의하는 바이다. 이는 단순히 국가가 나서서 인권을 보호하자라는 구호에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국가가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국민 개개인들이 인권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그동안 국영수 등 대학을 진학하여 돈을 벌도록 하는 교육만 받아 왔다. 그래서 어쩌면 머리만 큰 괴물들을 양산해 온 것일 수도 있다. 지금 우리는 흉악한 사회범죄에 부르르 떨면서 범죄자들에 대해 강력한 처벌을 원하지만 정말 중요한 예방법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만약 개개인들의 인권이 존중되고 있다면 한국이라는 사회에서 이러한 문제는 점점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부터 우리는 내가 중요한 만큼 남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통해 우리 사회를 조금더 밝게 만들어 나갈 때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