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달러는 미국보다 강한가 - 달러 패권의 역사는 반복된다
오세준 지음 / 원앤원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책은 핵심은 달러를 소비자의 관점에서 보지말고 투자의 관점으로 보자는 것이다. 미국이 만성 재정적자와 경상수지 적자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세계가 무시할 없는 이유는 바로 달러가 세계 기축통화이기 때문이다. 2 세계 대전 이전까지 영국이 세계 최고 였으나 기축통화에 대한 정책결정이 미국이 세계 최강이 되었다. 미국의 적자를 담보로 유럽과 아시아는 경제발전을 이룰 수가 있었다. 금태환을 금지한 이후 반짝 미국의 영향력이 사라지긴 했었으나 미국은 기축통화를 유지하는 전략을 바탕으로 지금까지도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가 있었다. 그동안 나를 비롯한 우리나라는 달러를 해외여행을 가기 위한 소비의 대상으로 주로 보아 왔었다. 책에서는 달러를 분산투자의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실 역시 달러를 단순히 소비의 대상으로만 보아 왔었기에 저자의 이런 투자 아이디어에 많이 놀라게 되었다. 달러대비 원화가 상승하게 되면 앞으로 여행갈 많이 못사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어 우울했었는데 얼마나 바보같은 생각이었는지 책을 읽고 느끼게 되었다.

 

 달러를 분산투자의 대상으로 보게 된다면 달러의 가치가 내려가도 혹은 올라가도 나는 안심하고 자산을 지킬 있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는 주식을 투자할 달걀을 바구니에 담지말라는 분산투자에 대해 귀에 못이 박히도록 많이 들었었다. 분산투자를 국내 주식으로 한정하고 다른 산업 군의 주식을 사고 안심한다. 하지만 달러라는 대안투자를 추가로 생각한다면 자산의 가치를 확장시킬 있을 것이다. 책을 통해 달러라는 화폐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배울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