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
김용만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몇 년전부터 중국의 동북공정과 맞물려 고구려의 역사 되찾기가 유행하였다. 특히 그 중에 중국의 침략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만주까지 고구려의 영토를 넓힌 광개토태왕은 방송과 책 등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지금은 그때만큼 열광적이지는 않지만 아직도 광개토태왕에 대해서 사람들은 신화적으로 생각한다. 이 책 역시 광개토태왕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하지만 광개토태왕을 신화적이거나 단순히 우리나라의 영토를 넒힌 사람으로만 다루지는 않는다. 광개토태왕릉비문을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대중에게 광개토태왕이 어떤 사람이었고 그 시대의 상황과 결부시켜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삼국시대 이후 단채 신채호에 의해 살아나기 까지 그 누구도 광개토태왕에 대해서는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고 갑자기 방송에 의해 신화적인 존재로 대접받는 거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단순히 주변국들에 의해 광개토태왕을 신화적인 존재로 만들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경계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광개토태왕에 대해서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 이 책은 담덕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하여 당시 주변국과 정치적인 상황 그리고 광개토태왕의 정복활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개토태왕은 백제, 신라와 경쟁을 한 것이 아니라 거란, 후연 등 대륙의 국가들과 나란히 함으로써 고구려의 이름을 떨치게 된다. 그리고 광개토태왕 역시 주변의 훌륭한 신하들이 없었다면 정복활동에만 집중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법과 제도 및 종교를 정비함으로써 제국을 가는 길을 닦아 놓았다고 할 수 있다. 정복활동을 통해 닦아 놓은 길을 아들 장수왕에게 건네 줌으로써 고구려는 동북아시아의 주변국에서 중심국으로 우뚝 서게 된다.



이 책은 위에서도 언급했지마 단순히 광개토태왕을 정복자로만 볼 것이 아니라 또한 드라마에서처럼 신화적인 존재로만 다둘 것이 아니라 가능한 객관적으로 그의 업적을 평가하자고 말한다. 그것이 우리의 역사인식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광개토태왕 역시 왕이기전에 인간이었기에 공만 있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 배울 점은 과감히 수용하고 과는 고쳐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