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외삼촌 - 한국전쟁 속 재일교포 가족의 감동과 기적의 이야기
이주인 시즈카 지음, 이정환 옮김 / 서울문화사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처음에 책을 받았을 때는 두께에 놀라 과연 이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수가 있을까라는 걱정을 했다. 하지만 그건 나의 기우였다. 첫장을 넘기면서 나는 급속도록 이 책에 빠져 들었다. 아버지와 외삼촌.. 소설의 주인공으로는 쓰이기는 참 흔한 소재는 아니다.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겠지만 이 책은 가족애를 시대상황과 연결하여 풀어내고 있다.



이 책의 주인공 다다마루는 재일교포 2세이다. 돈을 벌기 위해 조선땅에서 건너와 맨몸으로 자수성가한 고집쎄고 무뚝뚝한 아버지와 염전회사의 노무 관리자의 딸로서 일본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요코라는 어머니 사이에서 4째지만 장남이다. 주인공은 아버지의 가업을 잇고 싶어하지 않는다. 어렸을 적 아버지보다는 한번 본 외삼촌의 모습과 자신을 동일시 한다. 하지만 어느날 아버지의 부하 직원이었던 겐조씨를 통해 아버지의 가족애를 확인하게 된다. 자신의 목숨을 걸고 밀항하여 외삼촌을 무사히 한국군에 입대시켜 언제 죽을 지 모르는 상황에서 구해내고 다시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다.



주인공의 아버지는 심지가 굳고 의지가 강건한 사람이다. 자신이 한 일에 대해 떠벌리지도 않는다. 하지만 자신의 뜻에 반하는 것에는 불같이 화를 낸다. 전형적인 가부장적인 아버지의 표상이다. 주인공도 그런 아버지와 가업을 잇는 문제로 여러 번 부딪히다 아버지의 가족애를 깨닫고 다시금 아버지를 돌아보는 기회를 삼게 된다.



우리 시대의 아버지들은 어려운 시대를 묵묵히 가족들을 위해서 본인의 괴로움이나 걱정 등은 뒷전이었다. 본인이 하고 싶어하는 일보다는 가족을 부양하는 일을 해야만 했던 우리 아버지들을 우리는 얼마나 이해하고 있을까? 단지 고지식하다는 이유로 아버지를 무시하고 냉대했던 내 자신이 이 책을 읽고 너무나 부끄러워 졌다. 이 책에서 아버지가 모진 얘기로 아들을 책망하지만 그건 아들을 정말 사랑하기 때문이라는 내용이 있었다. 나역시 아버지의 마음을 조금 더 헤아리고 이제는 내가 먼저 아버지에게 다가서야 겠다라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다시금 가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었던 고마운 책인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