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한 수 - 위기의 순간, 나라를 살린
신동준 지음 / 북클래스(아시아경제지식센터)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어렸을 적부터 역사 소설을 좋아했었다. 특히, 삼국지와 같은 중국 역사소설을 무척이나 즐겨 읽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삼국지를 읽다보면 사자성어들이 많이 나왔었는데 대부분이 춘추전국시대에서 나온 고사가 많았다고 한다. 또한 사기라는 역사서와 공자의 춘추 등 여러가지 중국 관련 역사서들에 대해서도 설명이 나왔던 걸로 기억한다. 그만큼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는 혼란한 시대이긴 했지만 이후 중국왕조의 정신적 근거를 제공하는 유가, 법가 등 여러 사상이 나올 수 있었고 공자, 장자, 맹자 등 여러 사상가들을 배출한 시기이다.
 

 신의 한 수 이 책은 춘추전국시대에서 유명한 신하들의 이야기다. 관중, 손숙오, 자산, 안영, 오자서, 범리, 상앙, 인상여 등은 중국 역사서에서 빠지지 않을 만큼 그들의 나라를 위해서 군주를 보필하고 나라를 부강하게 하거나 최소한 외세의 침략에도 나라를 위태롭지 않게 하였다. 저자는 이들을 지신, 양신, 정신, 현신, 모신, 간신, 능신, 직신으로 분류하면서 그들의 삶과 성공담 그리고 말년을 통해 과연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어떻게 처신해야할지 우리에게 생각할 시간을 준다. 이 중에는 군주를 패자까지 올려놓았으나 물러날 때를 제대로 알지 못하여 팽당한 사람들도 있고 군주를 제후국 중에 1인자로 만들고서도 슬기롭게 스스로 몸을 낮추어 물러난 사람들도 있다.

 

 그냥 사기와 삼국지와 같은 역사소설과 이 책의 다른 점은 옛 춘추전국시대의 위대한 2인자들의 삶을 역사로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이 불확실성이 아주 높은 시대에 어떻게 처신해야 할지 우리에게 생각할 질문을 던져준다는 것이다. 사람을 죽이지만 않았지 우리의 삶은 하루하루가 전쟁과 같다. 내가 능력이 뛰어나 한순간에 높은 지위로 올라갈 수도 있지만 그 영광은 오래 지속되지 못할 수도 있다. 내가 이 책에서 가장 닮고 싶게 된 사람은 범리이다. 월나라 구천을 도와 제후국의 패자가 되게 도와주었으나 바로 구천을 떠난다. 그의 인간성을 알아본 덕분이다. 이런 삶의 지혜가 나에게도 존재하기를 바라며 항상 고전이 왜 읽히는지 알 수 있었던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