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인생의 조건 - 장자에게 배우는 CEO가 읽는 클래식 1
이인호 지음 / 새빛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장주의 말씀을 저자가 현대화하여 풀어 쓴 책이다. 사실 장주에 대해서는 노장사장의 장자 그리고 제물론 등 지극히 교과서적으로만 알고 있었다. 또한 중국영화에서 노장사상을 도사와 연관지었기에 도사님들이 생각났다. 하지만 유가사상의 부정과 사회시스템을 거부한 지극히 개인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장주. 이 책은 그런 장주를 통해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메시지를 전한다.
 장주가 살던 시대는 전란으로 매우 혼란한 시대였고 이에 따라 많은 철학가들이 자신들의 사상을 각 나라의 왕에게 전수하여 천하통일일 외치던 시대였다. 그런데 장주는 그런 것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고 오히려 그런 사회에 자신을 차단하여 자연에 순응하는 삶을 선택하였다.

  지금의 시대도 장주가 살던 시대보다 단지 물질 및 시스템이 좋아졌을 뿐 그렇다고 장주가 살던 시대보다 사람들이 더 행복해졌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것이 저자가 우리에게 말하고 싶은 주제였다. 남보다 더 많은 것을 원하고 내가 더 잘 되야 된다고 생각하면 할 수록 더 많은 스트레스만 쌓이고 행복과는 점점 멀어지고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자살도 많이 생기는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맘졸이며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시스템 내에서 전전긍긍하면서 살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부담과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내 삶의 방향성을 잃고만 가고 있었다. 그러던 차에 이 책을 읽게 되었고 어렵게만 느꼈던 장자의 사상이 옛날 할아버지의 고루한 말씀이 아니라 지금 이 사회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소중한 글귀들을 보게 되었다.

 장주의 우화를 통해 글은 쉽게 읽히나 그 의미는 몇번을 읽어도 헤아리기는 여렵다. 그렇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내 답답한 가슴을 뻥뚫어주는 느낌이 들었다.

 이 책에서 가장 기억이 나는 구절은 피나한 원주민에 관할 글이었다. 아무런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으나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 문명사회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사람들은 결코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장주의 관점으로 본다면 정말 피나한 원주민들이야 말로 가장 장주에 가까운 사람들이라고 생각된다.

 장주처럼 사회를 벗어나지는 못하겠지만 조금씩 너무 이 사회에 얽매이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을 이 책을 통해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