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픈 거인 - 어린이 책을 고르는 어른들을 위하여 ㅣ 바깥바람 10
최윤정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17년 5월
평점 :
'어린이 책을 고르는 어른들을 위하여'란 문구가 매력적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예상보다 나에겐 어려워 책장이 잘 넘어가지 않았다.
'서천석, 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은 편하게 읽었다. 내 아이에게 어떤 책을 읽어주면 좋을까~ 이런 책은 내가 읽어도 좋겠다고 생각하며.
비슷한 류이려니 생각했는데, 읽고 나서 검색해 보니 이 책은 아동문학론에 속했다.
출판사 소개에 따르면,
'슬픈 거인’은 클로드 퐁티의 그림책 『나의
계곡』에 나오는 캐릭터로, 큰 몸집 때문에 아이들의 집이자 놀이터인 집나무에 들어갈 수 없는 존재다. 부러움과 열등감 같은 감정으로 아이들을
바라보는 거인. 그러나 저자 최윤정이 담아내고 있는 ‘슬픈 거인’은 클로드 퐁티가 그려낸 문학적 존재에서 더 나아가 우리를 어른과 아이의 혼재
상태인 존재로 다시 호명한다.
나에게 '슬픈 거인'은 나 자신이다. 어른인지 아이인지도
모른 채 한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로 살아가야 하는 나!
저자는 서문에서 '아이는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라는
물음에 답을 찾았는데, '사람은 자신이 더 이상 아이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을 때에야 비로소 어른이 된다'고 했다. 어른이 아니라는 것은 어떤
것일까? 난 어른일까? 솔직히 모르겠다, 부끄럽게도...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나는 아들에게 어떤 책을 골라주고 있는가? 북클럽을
시작하기 전, 아들이 좋아하는 책이 생기면 시리즈로 사모았다. 너무 많아서 중고책 사이트를 기웃거리며 한달에 30-40권씩 사모았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아들은 그 책들을 재밌게 읽어주었고, 대부분의 책들을 나에게 읽어보라고 추천해줬다. 난 조금씩 지치고 있었고 북클럽을 알게 되었다.
매달 적게는 3권 많게는 5권까지 새책이 배달되는데 그 책 너무너무 재밌었다. 추천되는 책들이 재밌고 좋다보니 그 중에서 살 책을 고르게 되고,
도서관에서 빌려오는 것도 그 중에서 고르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이제 아들이 고르는 책, 내가 골라주는 책의 비중이 점점 줄어 0에 가깝게 된
듯하다. 아들이 고르는 책은 일주일에 한두번 단지내 도서관에 가서 골라 읽는 정도니 10%도 채 안 될 것 같다. 귀차니즘을 물리치고 이젠
교과연계도서, 추천도서 이런 거 말고 엄마가 아들을 위해 아들이 좋아할 만한 책을 일주일에 한 권 정도 읽을 수 있도록
골라주겠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1장 아이들은
무엇으로 사는가'이다.
유교적인 가치관을 가진 부모를 모시며 합리적이고 개인적인
아이를 키우는 우리는 해방을 넘어 미래를 볼 줄 아는 어른으로 아이들 곁을 지켜줘야한단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당황스럽고 혼란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 곁을 지켜줘야 하는데... 어떻게 지켜줘야 할까? 어떤 게 지켜주는 것일까?
이런 생각은 아들이 했던 질문으로 생각이 이어졌다. 작년
11월 무렵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고 나더니 '사람은 왜 살아요?'라는 질문을 했다. '엄마는 왜 살아요?'라는 질문과 함께. 그 때
나는 대답해 주지 못했다. 난 한번도 이런 생각을 해 보지 않았다. 그저 현재에 충실하며 열심히만 살아왔기에 가족을 위해서라는 뻔한 대답 말곤
생각나는 게 없어서 '모르겠다'고 대답했다. 아들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산다'고 대답했다. 올해 1월 또 같은 질문을 했고, '나 자신을
위해서 산다'라며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살면 사랑하는 사람이 없을 때 내가 사는 이유가 없어진다, 나 자신을 위해서 살면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도 살 수 있다'고 했다. 나도 내가 왜 사는지 이유를 찾아보기로 했고, 얼마 전 '엄마의 꿈'을 위해 산다며 '엄마의 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이 글은 허니에듀 서평단을 통해 제공된 책을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