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동에 가면 니 새끼가 뭐라도 될 줄 알았지?
유순덕 외 지음 / 이화북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이가 학령기가 되자 '학군'이라는 게 눈에 들어온다. 이사가 다가오니 '학군 좋은 지역', '학군 서열'같은 키워드에 갇힌 나의 모습이 새삼 낯설게 다가오는 중이다. 학군 중에서도 '대한민국 최고 학군'라 불리는 강남 8학군, 대치동. 그곳에는 어떤 별세 상이 펼쳐질지 내심 궁금했다. 그러다 이 책을 접하게 되었는데...나처럼 한 번 쯤 학군 고민을 해 본 부모라면 <대치동에 가면 니 새끼가 뭐라도 될 줄 알았지?> 라는 이 도전적인 제목에서 눈길을 뗄 수 없으리라.


이 책은 '대치 인문 독서클럽'에서 활동 중인 6명의 저자가 '길 위의 인문학' 수업 동안 쓴 글을 엮어 펴낸 책이다. 인문학의 내용이 주가 되지만, -그래서 몇몇 부분에선 책을 매개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곳도 있다- 글이라는 게 '나'를 감추고 쓸 수 없기에 대치동에서 치열하게 아이들을 가르치는 부모인 '나'의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배어 나온다.


글에서 묘사되는 '대치동 엄마'의 모습은 천태만상이다. 스카이캐슬에서 익히 봐왔던 모습처럼 꽉 짜인 스케줄과 전략으로 '서울대 입학'이라는 성과를 만들어내기도 하고, 자꾸 엇나가는 아이를 바로잡느라 전전긍긍하기도 한다. -그곳도 결국 사람 사는 곳인데 왜 고민이 없겠는가- 어떤 저자는 대치에서 아이들을 비교적 자유롭게 길러 '별종'으로 취급받기도 하고, 또 다른 이는 이 독서클럽을 통해 아이 생각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찾기도 한다.


내가 이 책을 펴며 기대했던 건 아마 '교육특구에서의 학습 노하우'같은 것이었을지도 모르겠다.-그렇다고 전혀 없는 내용은 아니지만- 하지만 이 책에의 많은 저자가 공통적으로 내린 결론은 '엄마이기 이전의 인간으로서의 나의 행복을 진지하게 고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가 마주할 미래에 집중하느라 정작 나의 현재는 잊고 있었던 게 아닐까. <대치동에 가면 니 새끼가 뭐라도 될 줄 알았지?>라는 날카로운 질문 아래로 묵직한 대답이 떠오르는 것만 같다. "하지만 엄마인 저는 뭔가 된 것 같아요."



-본 리뷰는 무상으로 도서를 제공받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