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이코노미스트 세계경제대전망
영국 이코노미스트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0 세계경제대전망(원제 The World in 2020)>은 영국 이코노미스트지에서 매년 발간하는 시리즈물 중 최신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경제신문이 이코노미스트지와 독점계약을 맺고 한국어판을 만든다. 나는 영국 대학 입시 때문에 이코노미스트지를 구독하기 시작했는데, 한국인의 관점 밖에서 세계 이슈를 볼 수 있어서 만족한다. 자연스럽게 <2020 세계경제대전망> 단행본에도 손이 갔다.

 

이 책은 정치, 과학기술, 세계 뉴스 같은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한 기사와 칼럼이 섞여 있는 형식이다. 그 중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키워드를 두 가지 뽑아보자면 미래에 대한 예측과 미국 정치다.

 

[미래에 대한 예측]

 

과거 세대에는 당연하게 여겨졌던 것들이 그 다음 세대에 와서는 악행이 되는 일은 항상 일어난다. 그래서 과거 사람들은 야만적이고 우리는 깨어 있다는 착각에 빠지기 쉽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행동이나 풍습들도 객관적으로 보면 아주 이상하게 보인다는 사실이 눈에 들어왔다.

 

예전에 읽어봤던 소설에 주인공들이 고기를 먹는다는 이유로 미래인들에게 식인종 취급을 당하는 장면이 나왔다. 그때는 어이없다고 생각했는데, 이코노미스트지의 예측이 맞는다면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날지도 모른다. 고기를 먹기 위해 가축을 키우면 엄청난 환경오염이 일어난다. 에너지 효율도 낮아서 가축에게 먹일 사료를 사람이 직접 먹으면 고기를 먹을 때보다 10배 정도 되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우리의 즐거움을 위해 동물을 죽인다는 윤리적 문제도 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콩고기처럼 고기를 대체할 수 있는 식품이 많아지고 가격도 내려가면서 이 모든 문제점을 감수하고 고기를 먹을 이유가 없어진다고 예측한다.

 

[미국 정치]

 

주변에서 트럼프는 탄핵이 어떻게 흘러가던지 간에 재선에 성공할 것 같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사람들의 예측을 뒤엎고 2016년 대선에서 힐러리 클린턴을 이긴 것이 깊은 인상을 남긴 것 같다. 그런데 이코노미스트지는 트럼프가 재선에 실패할 것이라고 말한다. 득표수로 따지면 트럼프가 힐러리보다 표를 적게 얻었는데, 선거인단(electoral college) 투표에서 이겨서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었다. 이런 경우는 전체 미국 대선에서 세 번밖에 없었다. 다시 일어나기 힘든 일이라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또 트럼프는 경제를 살리겠다고 약속했는데, 미중 무역전쟁 때문에 미국 경제 사정도 별로 좋지 않다. 어쩌면 이코노미스트지가 2016년 대선 때 사람들이 그랬듯이 트럼프에 대한 비호감 때문에 부정적인 예측을 내놓는 건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유야 어떻든 설득력 있는 근거에 기반한 예측을 제공한다는 점은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