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너의 문화사 - 매너라는 형식 뒤에 숨겨진 짧고 유쾌한 역사
아리 투루넨.마르쿠스 파르타넨 지음, 이지윤 옮김 / 지식너머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인사를 잘 하는 사람을 보고 매너가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인사법은 누가 정한 걸까? 여자에게 양보하는 남자가 매너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왜 그렇게 생각하는 걸까? 어렸을 때부터 예절은 어떻게 해서 정해졌는지 알고 싶었다. 예의 바르다고 여겨지는 행동 중에서는 레이디 퍼스트처럼 우호적 성차별에 가까운 것들도 있고, 직관적으로 봤을 때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전혀 이해가 가지 않는 것들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왜 내가 예절이 굳어진 배경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는지 알 수 있었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요소들이 예절을 형성하는 데 관련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예의범절과 인사법은 위험 사회에서 폭력성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책이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기사가 여자에게 문을 열어주고 먼저 지나가게 양보하는 것은 문 안에 암살자가 숨어 있을 경우에 대비해서 암살자를 유인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악수의 원래 목적은 서로가 손에 무기를 들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였다는 내용도 있었다.

 

옛날 유럽 사람들은 예절을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중요하게 여겼다. 가족이 모욕당했다고 생각하면 무기를 들고 결투하는 일도 많았고, 연회에서 벌어진 무례가 정치싸움으로 비화되기도 했다. 처음에는 왜 이 사람들에게 예절이 이 정도로 중요했는지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이 책을 읽다 보니 서서히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국가가 폭력을 독점하기 전인 중세에는 모두가 친구 아니면 적인 사이였기 때문에 행동과 몸짓을 통해 자신이 어느 편에 속하는지 분명하게 나타내야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복수를 통해 가족의 명예를 지키는 능력을 남성성과 연관시켜서 생각하던 당시의 문화와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책 제목이 매너의 문화사이다 보니 유럽 역사에 대해서도 많이 다룰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구체적인 사건을 다루는 비중이 많지는 않았다. 하지만 중세에는 국가권력이 약해서 개인 간의 폭력이 난무했다같이 큰 맥락을 짚어주는 내용이 있어서 대략적인 흐름은 이해할 수 있었다. ‘베네치아 사람들은 포크를 먹으면 지옥에 간다고 생각했다는 것 같은 식생활사에 관련된 내용도 많다. 예의범절이 어떻게 정해졌는지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