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의 발견 - 카피라이터 유병욱이 말하는 평소의 관찰, 메모, 음악, 밑줄
유병욱 지음 / 북하우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야마구치 슈는 <독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에서 일상의 자극도 독학을 위한 좋은 인풋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 말처럼 일상 속에서 도움이 되는 자극을 찾는 능력을 키우고 싶어서 <평소의 발견>을 읽게 되었다.

틈틈이 나를 채울 수 있다면, 생각의 재료들을 쌓아 둘 수 있다면, 고통스럽게 나의 밑바닥을 보는 일은 줄어듭니다."


평소에 하지 않던 일을 갑자기 시작하려면 엄청나게 어렵고 하기도 싫다. 하지만 평소에 조금씩 해 두었던 일이라면 훨씬 쉽게 할 수 있다. <평소의 발견>의 저자는 가끔씩은 일상에서 건져 올린 보석들이 특별한 아이디어로 태어나는 경험을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이 아이디어를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건 아니지만 한 꼭지씩 읽다 보면 저자의 말처럼 평소의 시간들은 소중하다는 메시지가 전해져 온다.

이 책에 실린 아이디어의 대부분은 저자의 일상에서 나온 것들이다. “튜브에서 바람을 뺄 때의 쓸쓸함이라는 글은 여행이 끝나갈 때마다 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튜브에서 바람을 빼던 경험에서 출발해서 결핍의 힘에 대한 생각으로 발전한다. 여행지가 특별하게 느껴지는 것은 언젠가는 떠나야 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여기서 우리는 없음이 있어야 있음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는 생각으로 넘어가고, 자신에게 부족한 것이 오히려 자신에게 힘이 될 수도 있다는 결론을 끌어낸다. 아무것도 없이 이런 생각을 끌어내려면 몇 날 며칠 머릿속을 뒤져야 할지도 모른다. 이게 바로 저자가 말한 평소의 힘 아닐까?

많은 자기계발서들이 메모하는 습관을 강조하는 이유도 메모가 평소의 생각들을 축적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일상 속에서 조금씩 축적해 놓은 생각들은 이렇게 힘이 세다. 이렇게 생각해 보니 평소의 경험들이 다르게 보인다. 같은 저자가 쓴 <생각의 기쁨>도 읽어보고 싶다.


인간은 치약이 아닙니다. 하지만 너무도 많은 시간을 우리는 치약으로 살고 있습니다. 짜내고, 짜내다가, 텅 빈 껍데기로 버려지는 삶. - P5

틈틈이 나를 채울 수 있다면, 생각의 재료들을 쌓아 둘 수 있다면, 고통스럽게 나의 밑바닥을 보는 일은 줄어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