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스라이팅에서 회복하기 -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심리 성장 워크북
아멜리아 켈리 지음, 최지원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5년 3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가스라이팅에서 회복하기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심리 성장 워크북
아멜리아 켈리 (지은이), 최지원 (옮긴이) 세종(세종서적) 2025-03-20
* 책을 읽으면서 이건 워크북이네 생각했는데 부제로 써놨네요.
3부의 구성입니다.
1부는 가스라이팅이란 무엇인가를 설명하고,
2부는 치유방법과 기술입니다. 자비와 용서가 중요합니다.
3부는 자존감과 자기애를 키우는 연습입니다.
왜 가스라이팅이 생기는 걸까요. 상대를 마음대로 하려는 지배욕입니다. 어린 시절 가스라이팅을 당한 사람이 다시 모방하는 경우도 있고, 나르시시즘이나 인격 장애로 할 수 있습니다. 그 수법은 7가지나 있습니다.
1. 부인 : 잊은 척하기, 남 탓하기, 거짓말 하기
2. 고의적 무시 : 이해하지 못하는 척, 안 들리는 척한다.
3. 경시 : 호들갑스럽다, 까탈스럽다며 핀잔을 준다.
4. 주의 전환 : 정보의 출처를 문제 삼아 신뢰성을 무너뜨린다.
5. 반박 : 불신의 씨앗을 심는다.
6. 편견 : 무정적인 관념을 악용한다.
7. 책임 전가 : 다른 사람의 잘못을 들춰 지배적인 위치를 되찾으려 한다.
21-23p, 가스라이팅 수법 7가지.
다들 몇번은 경험했을 수법입니다. (내 주변은 가스라이터들만 있는걸까) 그들의 말하는 법이 나오는데 섬찟합니다.
해결과 치료법이 2부에 나옵니다.
디어맨, DEAR MAN. (서양에는 이렇게 앞글자만 따서 만드는 것을 좋아합니다)
Describe 설명 ; 사실만 말한다.
Express 표현 : ‘나는‘으로 감정을 표현한다.
Assert 주장 : 하고 싶어, 해줬으면 좋겠어, 싫어 라고 말한다.
Reinforce 보강 :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긍정적인 말로 보강한다.
Mindful 유의점 : 말하는 동안 계속 나의 감정을 살핀다.
Appear Confident 당당한 모습 : 상대방과 눈을 맞추고 보디랭귀지를 사용하며 또렷한 목소리로.
Negotiate 타협점 : 상대의 의견도 듣고 (가스라이팅을 시도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조정하고 타협한다.
107-109p, 갈등 해결의 도구
가스라이팅을 당하면 무조건 도망가거나 피해야 되는 건줄 알았는데, 이렇게 적극적인 해결을 해야 하네요. 7단계로 집중하는 동안 상대는 뭐하나 궁금했는데 상대가 바로 앞에 있습니다. 쉽지 않습니다. 원래 당하는 사람보다 라이팅하는 사람이 더 많이 이야기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디어맨이 안된다면 다음 전략으로 바운더리 설정을 합니다. 또 무언가의 약자이려나 했더니 아닙니다. 바운더리는 신체 감각, 생각, 몸의 반응, 기분입니다. (계속 같은 말이 반복되는걸요. 가스라이팅일까요)
나의 영역을 지키고 설정합니다.
정서적 개별화, 팩트 추적, 초점 명상, 자비 토크... 등이 있습니다.
초점 명상이 멋집니다. 7가지에서 순서를 정합니다.
낭만적인 관계,
경제적 안정,
지식,
창의성,
정신세계,
건강,
가족
129p,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7가지 가치.
7개를 순위를 매깁니다. 그런 후에 1~3위 중에서 노력하고 싶은 가치를 하나만 골라 장기 목표를 하나 세운다고 합니다. 나만의 공간과 시간에서 5분만 할애하면 됩니다. 명상도 목표를 세우고 하면 됩니다.
자비 토크도 괜찮습니다. 스스로에게 자비롭고 친절하게 대화합니다. 내면의 자아와 대화하는 방식입니다. 마음속 깊이 들어가라, 생각을 비워라 등의 명상도 좋지만 내면과 대화를 시도하라는 참신합니다. (아무도 없을 때 해야겠지요)
2부는 주로 정신적인 치료, 대화이고, 3부는 육체적인 치료입니다. 자존감, 자신감을 키우기 위해 시간을 보내고, 호흡법, 파워 포즈, 감사 연습을 해봅니다. 파워 포즈 괜찮습니다. 한 동작만 해도 파워가 생기는 듯합니다. 웬지 원기옥 포즈이긴 하지만...
자기애를 높여주는 요가가 있습니다. 대충 아는 것같은 동작인데 아기, 나비, 스핑크스, 송장 자세까지... 해보면 뭔가 채워집니다.
가스라이팅으로 피폐해진 몸과 마음을 채우는 것이 회복의 첫걸음입니다. (어쩌면 운동을 해라! 일수도 있지만, 정신과 육체 활동을 병행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