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울 메이트 - 영혼의 치유자, 반려견과 함께한 나날들
하세 세이슈 지음, 채숙향 옮김 / 창심소 / 2022년 5월
평점 :
일곱편의 개와 관련된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앞집에서 개를 네 마리나 키우고 있어서 직접 키우지는 못하는 대리만족을 하고 있습니다. 아침 저녁으로 두 마리씩 데리고 산책을 나갑니다. 하루 네 번을 양손에 줄을 잡고 웃으면서 지나가는 모습을 보며 나는 감당할 수가 없구나 하며 오며 가며 뒷모습만 봅니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만족해야죠. 일곱 편의 이야기는 주변에 흔히 있는 평범한 이야기인데 (흔하지는 않군요. 대부분 죽음과 가까이에 있습니다) 그 사이의 중심에는 반려견이 있습니다.
딸들은 바람피고 무정한 아버지에 질려 직접적인 연락을 끊었습니다. 부인은 췌장암으로 죽어가는 상황에 항암치료도 거부합니다. 하지만 어떤 일이 있어도 치와와 루비는 한결같습니다. 루비가 가끔 기침을 하면 읽는 입장에서 가슴이 철컥 내려앉습니다. 눈과 꼬리로 자신의 충성스러움을 알려줍니다. 읽으면서 부인보다 루비를 걱정하게 됩니다. 내내 루비가 없으면 어떡하나 조심스럽게 읽습니다.
보르조이 편에서는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는 아이 유토를 착한 (정말 착하다는 표현이 맞아요) 레일라가 은근하게 도외줍니다. 얼굴을 봐준다든가 옆에 있어주는 이 사소한 행동에 우리는 얼마나 위로는 받을까요.
3편 시바는 두 가지 이야기가 오버랩되면서 교차됩니다. 단편인데 장면이 바뀔 때마다 상당한 긴장감을 줍니다. 우리 주변의 비극에서 일어난 사건에 남은 인간들이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감동을 받습니다.
웰시코기 펨브룩은 너무 이야기가 무겁습니다. 개를 버리는 현실도 사실이지만 있는 그대로 이야기하니 읽고나면 지칩니다.
아. 다 읽고나니 개를 키우고 싶은 마음이 더 간절해집니다. 어쩌면 키우는게 아니라 위안받고 도움받고 싶어 같이 사는 진정한 소울메이트가 맞는 제목인듯 싶습니다.
딸들과 달리 루비는 사에키를 단죄하지 않는다. 사랑하면 사랑한 만큼, 사랑을 되돌려 준다. (41 p)
미래를 예견하고 우는 것은 인간뿐이다. 개는 아무것도 모른다. 울고 있는 인간도, 영문을 모른 채 우두커니 서 있는 개도, 모두 가련했다. (60p)
도쿄 애견샵에서 직접 산 개목걸이는 확실히 기억하고 있었다. 후타는 살아 있었다. 나는 휘청거리는 발걸음으로 거실로 가서 어머니의 위패 앞에 앉았다. "후타를 부탁해." 위패가 그렇게 말하는 느낌이었다. (126p)
어떤 개라도 기본은 똑같아. 사람에게 애정을 받고, 인간 사회 속에서 해도 좋은 일과 나쁜 일을 배워야 해. 그렇게 해서 개는 사람과 함께 사는 것에 기쁨을 발견하게 되는 거지.
메구짱을 문 개는 주인에게 그런 것을 배우지 못했던 거야. 아니면 사랑받지 못했던가. 어느 쪽이든, 그 개는 인간 사회에 순응하지 못했어. 사람과 소통하지 못하고, 분명히 다른 개와 즐겁게 놀 수도 없었을 거야. 개는 말이지, 사람과 함께 살도록 진화했어. 그런데 그게 잘되지 않는다니, 불행하다고 생각하지 않아?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