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유전자 - 30주년 기념판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 옮김 / 을유문화사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꼭 읽어야 하는 과학책으로 손꼽이는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드디어 다 읽었다. 

다윈의 진화론을 막연하게 알고 있던 것이 사실은 자기복제자인 유전자의 불멸의 역사라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일부는 지루하기도 했디만 몇가지 흥미로왔던 내용들도 있다. 

1)자연선택을 통해 유전자는 생식과 기생, 합병, 생물과 무생물의 이용, 돌연변이를 통해서 늘리는 방향으로 개체들과 종들을 진화시켜 왔다. 그 자연선택의 법칙의 흥미로운 사례 또는 시뮬레이션이 12장의 '마음씨 좋은 놈이 일등한다'였다.  

 2)자기복제자가 유전자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것은 11장 '밈 Meme 새로운 자기 복제자'에 서술되어 있다.   만들어진 문화간의 경쟁과 자연선택. 이것 역시 자기 복제자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많은 과학자나 대부분의 지식인들이 그렇듯이 도킨스 역시 다윈주의에 대한 이해를 넓이고 깊이있게 하는데서 한 번 더 나아가서 다른 분야로 넓히는데 있어서 조금은 과도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물리학이나 화학의 기본 법칙이 세상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없듯이 생물학의 기본 법칙도 역시 모든 것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생명의 신비, 하나하나 알고 보면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구조들이 헤아릴 수 없는 수십억년의 시간, 그 속에서의 자연선택의 결과였고, 어쩌면 창조신이 있다면 그것은 자연그자체와 시간이 아닐까 싶다. 

또한 모든 생명, 모든 유전자들이 하나의 자연으로서 구성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진화하는 것이지, 오직 인간만이, 그 중에서도 특종 인종이나 특정한 사람들이나 사람만이 의미있는 존재는 아닐 것이다. 개미가 진드기를 가축으로 기르기는 하지만, 진드기가 개미의 유전자에 영향을 끼쳐서 경호원으로 고용한다고 볼 수도 있지 않은가? 

한편 생각하면 돈과 인간이라는 자본주의 사회의 두 주인공이 있는데 어느 것이 진정한 주인공이고 어느 것이 객체일까? 자기 복제를 하는 것은 돈일까 인간일까? 물론 역사적으로 사람이 돈이라는 도구를 만들었지만, 돈이 끊임 없이 자기 복제와 진화를 하면서 인간에 기생하거나 이용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주인노릇을 하는 것이 아닐까?  사람이 돈을 쓰는 것이 아니라 돈이 사람을 운반자로 하여 계속 자기 복제를 하는 것 아닐까? 사람의 자기복제와 돈의 자기복제의 기전이 다르므로 돈은 사람이 죽건 말건 아무 상관도 하지 않는 '비인간적인' '배신'을 하는 존재 아닐까? 사람은 자기 보호를 위하여 점점 더 두터운 돈 껍질을 쌓으려고 하고 그런 경쟁속에서 사람은 전쟁과 폭력을 일으키고 인간다움을 잃어가는 것은 아닐까? 

이기전인 유전자를 읽으면서 

'이기적인 돈'이라는 주제를 떠올리면서 우울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