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한스 크리스찬 폰 베이어 지음, 전대호 옮김 / 승산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한차례의 인터넷 대란이 있었다. DDos 공격이라는 .... 나름 국가적 차원의 정보화 선진국이라는 한국의 취약함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국정원이라는 곳에서는 북한의 소행이라고 단정했지만, 그에 대한 근거는 없고...자신의 능력없음만 보여주었다. 

정보화사회에 살면서, 늘 컴퓨터나 휴대전화의 문자메시지를 접하면서 정보를 접하고 있으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게 각종 전파가 내 주변을 혹은 나를 거쳐서 맴돌면서 정보가 넘치고 있으면서도 '정보'자체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보지 못했다. 

1)이 책은 크게 두 개의 큰 질문을 던지고 답하는 깊은 물리학적 철학적 탐구를 한다. 

첫번째는 '정보는 무엇인가?'  

두번째는 ' 큐비트에서 존재로?' 

2)정보이론에서 새넌 Claude Shannon은 정보 자체를 정의하지 않고 정보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발명했는데 그것은 컴퓨터의 2진법 코드로 번역한 후 0과 1로 된 계열의 숫자를 세고 그 수를 '섀넌 정보' 라고 하고 그 작업을 '비트 세기'라고 한다.  그런데, 이것은 정보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 내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명도 하지 못한다. 그것이 한계다.

3)몬티  홀 문제라는 것이 있다.  수학에서 확률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거론되는 것이다. 직관적으로는 이해하기 어렵겠지만 정보가 확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베이스의 정리 p X p(C->I)/p(I)에 대한 이해로 이어진다. 확률의 심화에서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 이해를 돕는 내용이다. 

4)지수 함수와 로그 함수의 의미... 

수학에서 지수 함수와 로그 함수를 배우기는 했어도 사실 그 로그함수가 어떻게 쓰일지에 대해서는 펼로 생각해본적이 없다.  지수함수는 자가분열하는 미생물이 늘어가는 것을 쉽게 예로 든다면 로그함수는 무엇일까?  이책에서는 빛의 광도에 대한 인간의 인식이 로그적이고,  소리에 대한 인식이 로그적이고 지진강도도 로그적이고 인간의 일생도 로그적이라고 한다.  

우리가 느끼는 나이가 들 수록 시간이 "쏜살 같이 간다"라는 것이 잘못된 인식이 아니라. 자연의 원리라는 것이다.  로그 함수로 하면 큰 숫자도단순하게 갯수를 셀 수 있다. 

5) 모르스의 전기부호와 새넌의 정보 측정법은 모스와 새넌에 얽힌 이야기 자체가 매우 재미있었다. 

6)라디오 전파의 잡음을 만드는 그런 '잡음'은 정보의 적이 아니라 파트너이고 보호자이다. 

7)문제는 양자이다.  

양자적 행동의 특징인 무작위성과 간겁, 중첩, 슈뢰딩거의 고양이, 구슬게임,.... 고양이가 죽었으면서 동시에 살아있고, 구슬이 빨간색이면서 동시에 녹색인.... 0이면서 1인....이것이 실재란다. 

8)그것이 바로 '큐비트(qubit) 

 

9)카레의 감소하는 정보의 법칙; 양적이지 않고 질적인 정보 측정법이 요구된다. 

10)차일링거의 원리 ; 기본적인 계의 정보 보유량은 1비트이다. 

 

.... 

솔직히 그 깊은 내용과 의미를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