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하여 그들의 목적지에 이르러 딸이 제일 먼저 일어서며 그녀의 젊은 몸을 쭉 뻗었을 때 그들에게는 그것이 그들의 새로운 꿈과 좋은 계획의 확증처럼 비쳤다. - P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사랑의 길은 결코 순탄한 적 없었으니 - P1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정투쟁의 공식을 오늘의 현실로 번역할 때 중요한 잣대는 세 가지이다.

*평범한 시민들이 *삶의 현장에서 누리는 *경제적 풍요,
*사회문화적 다원성,
*정치적 자유 등이

‘내가 남에게 동등한 존재로 인정받는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다. - P72

*자존감을 지닌 건강한 인간은 한 동전의 양면인 지나친 *열등감이나 *과도한 우월감에 빠지지 않는다.

*국가 사이에도 비슷한 교훈이 적용된다. - P73

*헌법은 *꾹가라 불리는 *정치결사체의 근원적 통치질서를 규정한 최고 기본법이다.

*헌법에 대한 학문적 탐구는 *국가론과 분리될 수 없다. - P143

둘을 굳이 나눈다면 *국가라는 현상을 체계적인 방식으로 분석하여 국가의 발생 기원이나 궁극적 존립 근거를 주로 따지는 국가론과는 달리,

*헌법은 "*국가적 공동체의 *존재 형태와 *기본적 가치질서에 관한 *국민적 합의를 *법규범적인 논리체계로 정립한 국가의 기본법"으로 정의된다. - P143

*서양의 경우 *국가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로 소급된다.

그리스 도시국가들이 종언을 고하자 로마 시대의 국가는 *시민적 인민공동체(civitas 또는 res publica)로 다시 정의되었다.

로마가 도시국가의 틀을 벗어나면서 확대된 지역적 국가의 통치권이라는 의미에서 제국(imperium)이라는말로 국가를 지칭하게 된다. - P144

그러나 근대적 의미의 국가(state) 개념은 모두 라틴어 stato(선다, 또는 어떤 *안정상태의 유지)라는 말에서 유래되어 *Status(지위)로 변전된 데서 유래된 것이며 이런 맥락의 최초 용례는 근대 정치철학의 창립자 마키아벨로 소급된다.

*분단 개념 자체가 *국가 개념이 *아니라 *단일 민족이나 *언어문화의 공동요소들에 의존한 **’상상된 정치공동체’에 의해 주조되었으며

압도적인 *민족주의적 *감성의 궤적 위에서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채로운 삶 colorful life이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만화경처럼 다양한 색으로 차려입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다채로운 삶이란 *자신에게 *충실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잘 표현하는 삶이다.

아무리 조용하고 내성적인 사람이라도 우리는 한 명 한 명 모두 다채로운 존재다. - P15

자신에게 맞는 색을 찾아내고, 그 색이 무엇이든 자신의 진정한 자아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찾아보겠다.

세상에는 오직 한 사람만을 위한 독착적인 색채 조합이 수백 가지나 있다.

이제 여러분의 삶에 색을 칠할 때가 왔다. - P15

(색채이론과 (심리학 분야에서 검증된 연구들에 따르면 세상의 *모든 색은 여러 측면에서 (*감정, 정신, 신체)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고 특정한 효과를 발휘한다.

*모든 *색에는 힘이 있다.
*모든 색은 우리의 *생각과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P26

/ 칼융(1875~1961년)

색채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학자는 스위스 심리학자 칼 융Carl Jung이다.

융은 히포크라테스의 학문을 더 발전시켜 4가지 기질을 색채와 연관된 성격 유형으로 구분하고, 그것을 토대로 인간 행동의 내적 동기를 설명했다.

- 시원한 파랑: 편견 없음, 객관적, 초연함, 분석적

- 대지의 초록: 차분함, 평온함, 고요함, 진정 효과

- 햇살의 노랑: 유쾌함, 기분이 좋아짐, 활기, 적극성

- 불같은 빨강: 긍정적, 결단력, 과감함, 확신 - P32

융의 이론에 따르면 4가지 기질에는 각각 긍정적 측면과부정적 측면이 있다.

사람은 *누구나 *4가지 기질을 *조금씩 지니고 있지만 그 *비율은 *사람마다 다르다.

그리고 우리는 *특정한 *한 가지 색의 *기운을 좋아할 *가능성이 높다.

/ 나라별 색의 상징적 의미

- 흰색

인도에서 흰색은 장례식 때 입는 옷 색깔이다.
서양에서 흰색은 순결, 순수, 선량함과 평화를 상징한다.
중국에서 흰색은 죽음을 상징한다. - P61

/ 검정

서양에서 검정은 사별과 애도의 색이다.
하지만 스페인에서는 신부가 마지막 순간까지 남편에게 충실하겠다는 약속의 의미로 검은색 드레스와 레이스 만틸라(스페인 여성들이 의례적으로 머리에 쓰는 스카프 모양의 쓰개 옮긴이)를 착용하는 전통이 있다.

아프리카에서 검정은 경험과 지혜의 상징이다.

일본에서 검정은 신비와 밤의 색이다. 검정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분노를 상징한다.

인도에서는 *악귀의 눈을 피한다는 의미로 *갓 태어난 아기의 얼굴에 *검은 점을 그려 넣는다. - P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이 지혜로운 거라고 생각하는 건 엄청난 착각이야.

ㅈ혜로워지는 게 아냐.

다만 신중해질 뿐이지. - P2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