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글쓰기는 놀이와 장난과 진지함이 함께 어우러지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P31

모더니즘은 강하게 엘리트주의의 경향을 갖는다. 모더니즘 예술이나 소설은 의식적으로 대중의 이해를 가로막으려 한다.

자신의 작품이 대중에게 이해된다는 사실이 모더니스트들에게는 어쩌면 모욕으로 여져질지도 모른다. - P32

*포스트모던 계열의 작품은 다르다. 그것들은 ‘*이중 코드’를 활용하여 *대중적이면서 동시에 *전문가적 수준을 유지하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에코의 글쓰기다.

일반 독자들은 이 책에서 그저 쉽게 쓰인 교양적 수준의 미학을 볼 것이고, 전문가들은 여러 미학이론에 대한 저자의 독법과 책의 여기저기에 암시해놓은 이론적 문제의식을 간취할 것이다. - P34

현실 사회주의와 함께 무너진 어떤 거대 담론을 대신해 들뢰즈, 데리다, 푸코, 보드리야르 등 프랑스 철학이 무섭게 밀려오던 시절이었다.

1980년대 내내 *금욕주의적 사상에 물들어 있던 지식인들의 눈에는 새로 들어온 프랑스 철학자들의 얘기가 매우 참신했던 모양이다. - P36

모든 책은 유행이 지난 다음에 읽은 게 좋다. - 베냐민

*탈근대의 관점에 서 있는 3권은 더 이상 *예술을 *소통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소통은 *공통의 코드를 전제하나, *현대 예술은 *대중과 공유하는 코드를 *파괴하려 한다.

*대중과 소통하기보다는 외려 그것을 *거부하려는 것이다. 예술은 더 이상 공통의 코드에 따른 소통이 아니라, *낯선 것을 *접할 때의 *충격을 동반하며 일어나는 일종의 *사건이 된다. - P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