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과 윤리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엮음, 김국현 외 지음 / 교육과학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콜버드 도덕성 발달 3수준 6단계


- 인습이전 수준

단계 1: 처벌과 복종의 오리엔테이션, 적자생존, 단순 쾌락 이기주의, 주관화 ; 00 안하면 혼난다.

단계 2: 도구적 상대주의의 오리엔테이션, 상, 칭찬, 욕구충족, 합리적 이기주의, 상대화 ; 보상, 스티커 ; 00하면 00해줄게


- 인습수준

단계 3: 사람들 상호간의 동조 혹은 착한 아이 오리엔테이션, 단순 관습주의, 객체화 ; 착한 아이 ; 부모님 선생님께 잘 보이려고 착한 일

단계 4: 사회유지의 오리엔테이션, 합리적 관습주의, 사회학 ; 규칙, 법, 질서

- 인습 이후, 자율적 윤리적 수준

단계 5: 사회계약의 욀엔테이션, 사회복지, 공명정대, 제3자의 입장 취함, 인간의 보편적 권리 설정, 사회계약론 혹은 공리주의; 일반화 ; 타인 배려, 존중

단계 6: 보편윤리적 원리의 오리엔테이션, 칸트의 의무론 ; 양심, 생명존중, 양심에 따라 행동 - P12

도덕과교육을 통해서 *변화 내지 *발달시킬 수 있는 도덕성이 *어떤 도덕성인지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만 *실현 가능한 도덕과교육의 목표가 설정될 수 있다. - P12

콜버그는 가치관련성, 현상주의, 보편주의, 처방주의, 인지주의, 형식주의, 원리성, 구성주의, 정의의 우선성이라는 아홉 가지 *메타윤리적 가정을 토대로

*도덕성 발달이 *덕의 주입이 아니라 아동의 *형식적 *추론 능력의 *발달로 규정되나고 주장한다.

규범윤리적 가정은 그렇게 발달한다는 의미보다는 *발달해야만 *도덕적 인간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13

콜버그에게 있어 6단계는 규범윤리이론으로서 칸트의 의무론, 롤즈의 정의론, 하버마스의 담론 윤리에 대응하며, 6단계의 형식적 도덕 원리의 추론 방식 역시

각각 칸트의 *보편화가능성, 롤즈의 *반성적 평형, 하버마스의 *이상적 의사소통에 대응한다.

콜버그의 이론을 발전시켜 인지 발달에 정서와 의지, 행동의 발달을 결합시킨 도덕성 발달의 완전한 모습을 제시하려는 시도가 있을 것이라고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그 시도가 성공한다면 우리는 도덕교육이라는 여정을 위한 완벽한 지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이것이 *이성, 판단, 추론, 원리, 형식 등을 강조하는 *의도적이고 *직접적인 도덕교육을 하지 않더라도 *도덕적 추론 능력은 3수준 6단계로 발달한다는 것을 의미한고 생각한다. - P16

몇 년간의 *정규 교육과 높은 수준의 도덕 판단력 점수는 *상관성이 뚜렷하다고 주장한다.

도덕교육은 *도덕적 미숙아를 만들어도 안 되지만 *도덕적 조숙아를 만들려고 해서도 안 된다.

도덕적 조숙증을 유발하는 도덕교육이 비도덕적인 또 다른 이유는 *자아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다.

발달의 계열에 의하면 3단계에 있는 영수는 최대 행복의 원리나 정언명령의 원리를 적어도 자신의 인지 구조 속에 내면화할 수 없다.

콜버그는 명백히 스미스와 흄의 도덕 감정에 반대했다. 또한 스키너의 행동주의 behaviorism에 반대했다.

*인지 발달은 *이성적 능력의 발달, *즉 형식적 추론 능력의 발달을 의미한다.

그것은 *도덕적 원리를 *인식하고 *재구성하는 이성의 능력이다.

하지만 도덕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재구성이 도덕적 정서나 도덕적 행위 없이 가능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물론 감정은 주관적인 수 있고, 행위는 교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인지 없이는 도덕성 발달을 말하기는 어렵다.

그렇다 하더라도 그 인지 발달 자체가 감정(정서)이나 행위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 P18

*도덕 판단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이 도덕적 행위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증거가 없다면 *도덕적 행위를 촉발하는 다른 *요인을 생각할 수 있다.

최근 하이트(J. Haidt)와 다마지오(A. Damasio) 등의 연구는 *도덕적 정서가 그요인임을 말하고 있다.31

*흄에 의하면 *도덕적 정서는 *도덕적 관찰과 *경험을 통해서만 촉발된다. 그렇다면 *도덕적 판단, 추론 능력의 발달은 *도덕적 정서와 *도덕적 행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x - P23

우리는 도덕성을 도식화할 때,

도덕적 감수성(민감성) -> 도덕적 판단과 추론 -> 도덕적 동기화 -> 도덕적 품성(혹은 도덕적 자아) -> 도덕적 행위로 이어지는 축자적 순서에 익숙해 있다.

*도덕적 정서와 *도덕적 행위가 *도덕적 판단이나 추론보다 *먼저 *가르쳐지거나 적어도 풍부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도덕과교육이 인지, 정서, 행동의 요소들 중에 어느 하나에 집중되거나 편향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추병완은 한국의 도덕교육론에서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도덕교육의 이해』, 제1부 제2장과 제3장에서

*도덕교육에 대하여 두 가지 극단적인 접근,
즉 *강경론적 접근(hardline approach)과 *온건론적 접근(softline approach)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홀(Hall)의 주장을 소개한다.35

*강경론적 접근은 도덕교육을 "*선과 악에 대한 절대적이고도 영원한 원칙으로 되돌아가서, 그것들을 자라나는 아동들에게 가르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입장이고, 36

*온건론적접근은 도덕교육이 "*인간적 성숙과 *인간 상호 관계에 초점을 맞춰야만 하며, *구조나 권위보다 *개인의 자유를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37

추병완은 이러한 두 접근법의 특징을 도덕교육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로 더욱 구체화한다.

그에 의하면 도덕교육에는

*사회화 대(對) 자율성(발달),
*덕 대 원리,
*내용 대 형식,
*감정 대 이성(가슴 대머리),
*행동 대 사고,
*도덕의 특수성 대 *도덕의 보편성 등의 이분법적 사고가 있으며,

각각의 전자는 강경론적 접근에서 강조되고 후자는 온건론적 접근에서 강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28

*행동을 강조하는 도덕교육이론은 인격교육론, 덕교육론,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 등이라고 볼 수 잇고,

도덕성 발달이론(인지발달이론), 구성주의 도덕교육론, 자유주의 도덕교육론 등은 ‘사고’를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도덕적 실천에서 행동 없는 이성은 공허하고 이성 없는 행동을 맹목적이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