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도시의 진화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는다. 다만 가끔 라임을 맞추기는 한다." - 마크 트웨인


시골이 그들을 밀어낸 푸시push 요인과 도시가 그들을 잡아당긴 풀pull 요인이 모두 작용했다.

전 세계 GDP의 80% 이상이 도시에서 만들어진다. - P27

/ 클러스터링 효과

역사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되면 *더 많은 인구가 특정 지역에 *몰리기 마련이다.

이런 *대도시 클러스터들은 서로 근집해 있으며서 경제적 사회적 연결을 공유하는 특성을 보인다.

중국의 도시화도 이런 경로를 밝고 있다.

중국: 광저우, 포산, 둥관, 선전, 홍콩, 중산

/ 대도시화

중국의 경우, 앞으로 20년이나 30년 내에 도시 클러스터가 성숙한 발전단계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다섯 곳의 도시 클러스터들이 중국 인구의 50~60% 정도를 담당할 것이다.

/ 스마트시티

현대 도시 지역에서는 센서 기반 자료 수집을 통해 도시 서비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될 것이다.

기술 발달 덕분에 정부는 제공하는 서비스 사이의 소통도 더욱 원할해질 것이다. - P30

/ 뉴브랜드

황무지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그리 새로운 건 없다. 하지만 최근에는 신도시 계획의 규모가 어마어마해지고 있다.

기존 인구 거점 지역의 온갖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새로운 경제 엔진을 만들자는 목표 아래 이런 최신 도시들이 지어지고 있다.

ex> 중국의 란저우 신구, 사우디아라비아의 킹 압둘라 경제도시

/ 해수면 상승

자카르타: 인도네시아의 최대 도시인 자카르타는 매년 *25센티미터씩 바다 아래로 가라앚고 있다. 이대로라면 *2050년에는 도시의 1/3이 잠길 것이다.

/ 최악의 도시 열섬

델리: 델리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31.5도인데, 2100년이면 이 평균기온이 *35도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치솟는 기온에 의해 델리의 거주자들은 심각하게 거주를 위협닫을 수 있다.

/ 산불 피해

로스앤젤레스: la지역은 산불 고위험군에 속해 있다.

/ 거세지는 폭풍

마이애미: 홍수에 취약한 마이애미는 강력한 허리케인이 지역을 강타하는 등 사태가 악화될 경우 2100년에는 250만 명의 주민이 기후난민으로 전락할 수 있다. - P30

- *모바일 보급률이 10% 늘 때마다 국내총생산 gdp은 1.2% 늘었다.

/ 아시아 시장의 강세

세계 주식 상장을 통한 자본 조달 시장에서 *아시아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

2000 - 2002: 19%
2016 - 2018 : 42% -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