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에 나오는 우상상배의 예에서 보듯이 소외란 결코 자본주의사회에서만 보이는 현상은 아니지만 자본주의사회에서 소외는 거의 전면적인 것이 되었다. 소외는 사회와노동, 소비하는 물건, 국가, 동료, 그리고 자기 자신과의 관계까지 지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람들이 숭배하는 우상은 자본주의사회에서는 민족, 계급, 인종, 돈, 명예, 특정한 경전, 정치적인 교의, 특정한 정치가 둥처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프롬은 자본주의사회에서 보이는 소외의 다양한 형태들을아래와 같이 분석하고 있다.
첫째로 자본주의사회에서 노동자들은 노동으로부터 소외된다. 노동은 단순히 연명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창조적 능력을 구현하는 것을 통해서 자신을 고양시키고 성숙시키는 활동이다. 그러나 자본주의에서 노동은 철저하게 분업화되어 있고 노동자들은 생산을 주체적으로 주도할수 없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