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란 ‘인간이 자신을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 느끼지못하고 자신의 행위의 산물에 불과한 것을 오히려 주체로 보면서 그것에 복종하고 숭배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 P39

프롬은 소외란 단어가 사용된 것은 최근의 일이지만 그것이의미하는 사태는 훨씬 오래된 것으로 보면서, 그 대표적인 예를 구약성서의 예언자들이 말하는 ‘우상숭배‘에서 찾고 있다.

예를 들어서 사람들이 황금으로 만든 송아지를 신으로 숭상할 때, 그것은 인간의 창조물에 불과한 것인데도 사람들은 그것을 자신들에게서 독립된 절대적인 존재로 생각하면서 그것에 복종하고 의존하게 된다. 사람들은 황금송아지가 전능한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자신들은 무력하고 보잘것없는 존재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우상상배의 예에서 보듯이 소외란 결코 자본주의사회에서만 보이는 현상은 아니지만 자본주의사회에서 소외는 거의 전면적인 것이 되었다. 소외는 사회와노동, 소비하는 물건, 국가, 동료, 그리고 자기 자신과의 관계까지 지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람들이 숭배하는 우상은 자본주의사회에서는 민족, 계급, 인종, 돈, 명예, 특정한 경전, 정치적인 교의, 특정한 정치가 둥처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프롬은 자본주의사회에서 보이는 소외의 다양한 형태들을아래와 같이 분석하고 있다.
첫째로 자본주의사회에서 노동자들은 노동으로부터 소외된다. 노동은 단순히 연명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창조적 능력을 구현하는 것을 통해서 자신을 고양시키고 성숙시키는 활동이다. 그러나 자본주의에서 노동은 철저하게 분업화되어 있고 노동자들은 생산을 주체적으로 주도할수 없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