갸. 논쟁 속의 그리스도교

/ 종교 - 인간의 투사(포이어바흐)

공산주의 체제 어디서나 변증법적 유물론은 포이어바흐가 전개한 종교비판을 전제로 했고, 그래서 그는 *현대 무신론의 *교부가 되었다. - P42

포이어바흐의 근본명제:

‘신학의 비밀은 인간학이다."

신이라는 갠며은 인간의 투사 projektion 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 절대적 존재. wesen 곧 인간의 신은 인간 자신의 본질이다. 인간 위에 있는 대상의 힘은 인간 자신의 본질의 힘이다.

신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 대해 갖고 있는 영상을 신성한 존재의 온갖 속성들로 눈부시게 장식하여 *투사 *구상화한 것에 불과하다. 신의 사랑, 지혜, 정의 그것들은 실제로은 인간, 인류의 속성들이다.

*인간이 인간의 신이다. 바로 이것이 종교의 핵심 비밀이다. - P43

그러나 종교가 *단지 투사일 따름이라는 것은 포이어바흐도 결코 입증하지 못했다.

종교는 어떤 전혀 다른 *실재와의 관계이기도 하다. - P44

**종교의소멸에 관한 주장


*미래에는 "*신앙의 자리에 *회의가 들어서고,
*이성이 *성서를,
*정치가 *종교와 교회를,
*땅이 하늘을,
*노동이 기도를,
*물질적 궁핍이 지옥을,
*인간이 그리스도를 대체하리라는 것이다.

참으로? 오늘날 너무나 분명해진 사실:
*무신론적 인본주의에 의한 *종교의 폐기(포이어바흐)나
*무신론적 사회주의에 의한 *종교의 절멸(마르크스)이나
*무신론적 과학에 의한 *종교의 대체(프로이트) 그 어느 것도 올바른 예측이 아니었음이 밝혀졌다. - P44

오히려 완전히 거꾸로, 선한 인간 본성(포이어바흐)에 대한 신앙은 명백한 투사임이 드러났고,
미래의 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신앙(마르크스)은 인간의 희망이 만들어낸 자기위안임이 밝혀졌으며,
합리적 과학에 대한 신앙은 위험한 환상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우리는 이론적일 뿐 아니라 실천적인 허무주의의 문제제기를 매우 진지하게 수용해야 하지만, 어쨌든 신의 죽음에 관한 니체의 예고 역시 그릇된 것이었음이 드러났다!

오히려 거꾸로 오늘날 우리는 오랜 세월 무신론 아래 있던 구소련과 아직도 공식적인 무신론 국가인 중국에서도 종교가 돌아오고 있음을 지켜보고 있다. - P45

그런데도, 후현대에서의 종교의 미래를 위해서는 각 종교가 앞에서 언급한 걸출한 종교비판가들의 *정당한 근본 *관심사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느냐가 중대한 변수가 될 것이다.

- *종교는 후현대에도 또다시 (현대에 그토록 자주 그러했뜻) 인간의 *지성적 *윤리적 *정서적 *소외와 *빈곤화의 표현이 될 것인가,
아니면 인간을 여러모로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나 참된 *인본주의가 될 것인가?

- 종교는 또다시 *아편이나 사회를 달래고 진정시키거나 억압하는 도구가 될 것인가, 아니면 *포괄적 계몽과 *사회적 해방의 수단이 될 것인가?

- 종교는 *환상이나 *정신적 미숙 *노이로제 *억압의 표현으로 드러날 것인가,
아니면 *인격적 정체성과 *정신적 성숙의 표현으로 드러날 것인가?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