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영어로 번역한 존 이블린 John Evelyn은 영역본 뒤에 붙인 <건축가와 건축에 관한 이야기>라는 후기에서 이 문제를 다르게 보았다.

이블린은 건축 예술은 네 종류의 사람들로 구성된다고 말했다.

첫째가 *아르키텍투스 인게니오architectus ingenio : 천부적 재능의 건축가로서, 건축의 아이디어를 내놓고, 건축의 역사에 아주 밝고, 기하학 · 드로잉 ·천문학·법학·의학· 광학 등에 능숙한 사람이다.

두 번째가 *아르키텍투스 숨프투아리우스 architectus sumptuarius: 돈을 대는 건축가로서 주머니에 돈이 넘쳐흐르는 사람, 즉 후원자다.

세 번째가 *아르키텍투스 마누아리우스 architectus manuarius: 손으로 일하는 건축가로서 <여기에 장인과 인부들을 포함시킨다고 말했다.

마지막이 *아르키텍투스 베르보룸 architectus verborum: 말의 건축가인데, 이블린은 자신이 이 부류에 속한다고 했다. 말의 건축가는 말을 능숙하게 다룰 줄 알고, 다른 사람들을 위하여 건축 작품을 언급하고 해석하는 사람이다.

이블린의 건축가론은 하나의 중요한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있다. *건축은 이 *네 가지 기능 중 한두 가지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네 가지 모두의 종합이라는 것이다.

어떤 건축 작품의 특징을 탐구하는 비판적 언어도 아르키텍투스 인게니오의 구상이나 아르키텍투스 마누아리우스의 장인 정신 못지않게 건축의 한 부분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언어를 건축의 일부로 보는 사상과 건축하고는 아예무관하다는 사상 사이에 상당한 거리감이 있는데 이 책은 그런 거리감의 문제를 탐구한다. - P17

/ 언어와 역사

언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간주할 때, 이 책이 가장 주목하는 점은 언어와 의미 사이의 유동적 상태이다.

*의미는 단어를 쫓아가고, *단어는 의미로부터 달아나 버린다. - P19

칸트는 아름다움을 정의하면서 *아름다움은 *대상보다는 *주체에 달려 있다고 보았는데, 이것은 예술 작품이 일으키는 체험의 특정 형태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시킨 것이다.

18세기 건축 비평가인 부예는 <인간의 즐거움을 묘사한다는 것은 그 즐거움의 영향 아래 사는 것을 중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