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 씌어지기 이미 10여 년 전부터 그를 사로잡아 왔던 문제였다.

일지에서 키르케고를는 "다른 어떤 것을 배우기 전에 먼저 자기 자신을 아는 법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

"현대는 절망의 시대이다"라고 쓰고 있다. - P14

처음에는 아마도 한 사람이 *연약함으로 인해서 *죄를 범하고,
*연약함에 *굴복할 것이다.
(오호라, 왜냐하면 너희의 약함이 탐욕, 기질, 열정, 그리고 죄의 강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다음에 그는 *자신의 죄에 너무나도 *낙담한 나머지 아마도 *또다시 죄를 범할 것인데 **절망 때문에 *범죄할 것이다. - P14

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사람은 남의 눈에 잘 띌 뿐만 아니라 그 광경을 보는 사람에게서 구해주고 싶은 마음을 불러일으키지만,

종교적으로 허우적거리는 사람들은 남의 눈에도 잘 띄지 않고 눈에 띄더라도 별로 관심을 끌지 못한다.

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것보다 *절망에 빠져 종교적으로 허우적거리는 것이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무서운 일인데도 말이다.

그들은 도움의 손길이 절실했지만, 주체적 사고가 증발해버린 헤겔주의가 풍미하던 시대적 조류에 떠밀려 방치되고 있었다. - P15

키르케고르는 종교적인 죽음에 다가가는 사람들이 영위하는 삶이 얼마나 고통스럽고 비참한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자 했다.

죽어가는 자신의 비참한 모습을 본다는 것은 언제나 혐오스러운 일이다.

정신적으로 병든 사람이 정신적 건강을 되찾아 종교적인 죽음의 길에서 벗어나려면 자신이 어떤 병에 걸렸는지를 똑바로 알아야 한다. - P15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으로서 인간의 병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런데 *인간은 정신이고, *정신은 자기이다.

따라서 절망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를 알아야 한다. 그럼 자기가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서 키르케고르의 자기의 정의로 눈을 돌려보기로 하자. - P16

인간은 정신이다.
그런데 정신은 무엇인가?
정신은 자기이다.

그러면 자기는 무엇인가?
자기는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며
또는 그 관계 안에서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다.

자기는 관계가 아니라 자기 자신과 관계하는 관계이다.
인간은 무한한 것과 유한한 것의,
시간적인 것과 영원한 것의,
자유와 필연의 종합이며,
간단히 말해서, 종합이다.

종합은 그 둘 사이의 관계이며, 이렇게 보건대, 인간은 아직도 자기가 아니다. - P17

키르케고르가 말하는 *필연성이란 인간을 *제약하고 *구속하는 *구체적인 *자연-*사회-*정치-*문화적인 환경, 성, 종족, 개인적인 경험, 정서적인 안정감, 재능, 관심, 능력, 단점들을 포함하는

*환경, *조건, *처지 또는 상황을 말한다. - P18

그러나 인간은 *동물과 달리 *끊임없이 자신의 *한계 너머를 동경하며, 한계를 넘어가려고 하고, 실제로 한계를 넘어가기도 한다.

자기는 *유한성과 무한성의 *종합으로서 성립되고 *잠재적이므로,

자신이 되기 위해서 자기는 *상상을 매개로 자신을 *반성하며 그럼으로써 **무한한 가능성이 명백해진다.

잠재적으로 자기는 필연적인 것만큼 가능적이다. - P20

자기란 상상을 매개로 자신의 **이상적 자기를 자신의 *현실적 자기와 관계시키는 관계자로, 즉 역동적 활동체로 정의될 수 있다. - 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