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철학 - 그 주제적 지형도
정대현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고통과 인간

/ 인간론

인간의 정의에 대한 철학사의 여러 논의들은 깊은 통찰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플라톤(Plato, 1997)의 "어둠 속에서 *빛을 추구하는 인간,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1999)의 "*이성적 동물로서의 인간,
*아퀴나스(Aquinas,
2007)의 "*죄를 지을수록 *더 많은 죄를 짓게 되는 인간",
*흄(Hume, 2000)의
"이성보다는 *감정에 지배되는 인간",

*다윈(Darwin, 1964)의 "*생존 경쟁 속에서 우연히 살아남은 호모 사피엔스",
*니체 (Nietzsche, 1968)의 "동물과 초인 사이에 놓인 *밧줄",
*프로이트(Freud, 1968)의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한 오이디푸스의 후예" 등이 그것이다. - P44

이러한 인간관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경향은 *모두 인간의 **특정 국면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점을 부각하는 의미에서 합리주의와 경험주의의 두 경우가 어떤의미에서 국면적인가를 간단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합리주의의 인간론은 "인간은 생각하는 존재다"라는 명제로 요약될 수 있다.

흄의 경험주의는 인간을 **지각의 다발로 보았다.

흄은 데카르트와 달리 지식의 확장성이 지식 개념의 구성 조건이라고 생각했고, 새로운 지식이 *경험을 통해 얻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면 경험이란 무엇인가?

**경험은 일차적으로 인간이 *오관을 통하여 얻는 **지각 perception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