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는 예측의 무오성을 단언하지 않는다. 정보가 밝힌 정답은 매우 객관적인 근거를 토대로 심사숙고 끝에 내놓은 추정이라 주장할 뿐이다.
셔먼 켄트 - P4
세 가지 보편적인 주제를 분석했습니다.
1부에서는 *인구와 *환경, *경제 및 *기술이라는 *4대 중심 영역의 *’구조적인 변수’를 살펴보았습니다.
2부에서는 구조적인 변수가 다른 *변인과 *작용하여 *세 가지 위상 - *개인과 사회, *국가 및 *국제사회-의 ‘*떠오르는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위를 조명했습니다.
끝으로 3부에서는 불확실한 상황을 짚어보고 이를 적용한 *5가지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2040년의 세계를 전망해 보았습니다. - P7
미래는 항상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기에 겸허한 마음으로 전망을 분석합니다.
/ 논지를 뒷받침하는 5가지 키워드
1. 글로벌 과제 global challenges
코로나19는 2차 대전 이후, 보건과 정치/경제 및 안보 면에서 여진이 수년이나 지속될 수 있는 미증유의 사태였다.
*신기술은 신속히 확산/보급될수록 *노동시장과 *산업계 및 공동체뿐 아니라 *권력과 *인간의 의미까지도 *와해시킬 것이다. - P10
2. 분열 fragmentation
모순 같지만, *통신과 기술, *교역 및 인구의 이동으로 *세계가 *연결될수록 *인간과 *국가는 되레 *갈라지고 *분열되어 왔다. - P11
사물인터넷이 2018년에는 *100억 개의 기기를 아울렀다면 2025년에는 *640억 개를 기록하다 2040께는 *수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즉, 모두가 실시간으로 *감찰 대상 monitored이 된다는 것이다.
결국 *연결성은 *효율성과 *편의를 도모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보탬이 되겠지만
*한편으로는 *가치관과 *목표가 다른 사회를 비롯하여, *인구를 통제하기 위해 *디지털을 억제하려는 정권에 이르기까지 각계각층에서 *긴장을 고조시킬 것이다. - P11
**연결성은 널리 확산될수록 *국가나 *문화 혹은 *정치적 이념에 따라 **분열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
사실 대중은 진실을 수용하는 시각과, 견해 및 신념이 비슷한 부류의 정보에 매력을 느낄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반면 세계화는 경제/생산 네트워크가 변화와 다각화를 도모함에 따라 양상이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변수는 **연결과 **분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얽힌 *세계의 전조로 봄직하다.
/ 불균형 disequillibrium
국가와 사회를 들여다보면 *국민의 요구와 *정부/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역량 사이의 *격차는 *점차 벌어질 공산이 크다.
이러한 불균형에 구체제 old orders는 제도나 규범 혹은 거버넌스(지배구조)를 통틀어 부담을 느끼고 때로는 권위마저 떨어지고 있는 추세다.
반면 *세계 주역들은 *새로운 문명사회 모델의 *합의점을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 P12
/ 경쟁 contestation
*사회 다수가 *정체성에 따라 갈라지면 그만큼 *파열음도 커지게 마련이다.
*국가가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고전하면 할수록 *사회와 *정부의 관계는 *만성적인 *갈등 국면에 접어들 것이다. - P12
/ 적응 adaptation
인구가 달라져도 적응이 필요하다. 가령, 중국과 일본, 한국 및 유럽 등,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국가가 *자동화 설비를 구축한다거나 *이민자를 늘리는 등의 대안이 없다면 *경제성장에 *제동이 걸릴 것이다.
한편, *기술은 *적응을 통해 *경쟁력을 얻을 수 있는 열쇠가 된다.
예컨대, 국가가 **인공지능AI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경제적 기회를 증진시킴으로써 *공공서비스는 늘리고 *부채는 줄이며 *고령인구의 비용에 대해 자금을 조달하는가 하면 신흥국가가 중진국의 함정(middle-income trap, 개발도상국이 중진국 단계에서 성장 동력 부족으로 선진국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경제성장이 둔화되거나 중진국에 머무르는 현상을 일컫는다. 옮긴이)을 극복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13
인공지능 같은 기술은 국내뿐 아니라 국가들 사이에서도 고르게 보급되진 않으므로 *적응이 되레 **불평등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
가장 바람직한 모델이라면 *적응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세우고 *집단행동 collective action을 신뢰하며 *전문지식과 역량뿐 아니라, 비국가적 세력과의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역량을 보완할 수 있는 국가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