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학은 크게 *’전략, 인풋, 추상회 및 구상화, 축적’의 네 가지 모듈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P6
*인풋만으로는 *아웃풋이 되지 않는다.
아무리 *인풋의 양이 많더라도 *추상화와 *구조화를 할 수 없으면 *만물박사는 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상황에 따라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유연한 지식 운용은 어렵다. - P6
또 *추상화와 구조화에 성공하더라도 그 내용을 효율적으로 *정리 및 *축적해 *상황에 따라 *자유자재로 끌어내 사용할 수 없다면 역시 *지적 전투력의 향상은 *불가능하다.
*지적 전투력은 신체 능력과 마찬가지로 순발력과 지구력 모두를 요구한다.
인간은 *인풋된 정보의 *90퍼센트 이상은 망각하게 된다.
상황에 따라 *과거에 *인풋되었지만 잊어버린 정보를 적절하게 꺼내 활용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이 진행되어 *지식의 **감가상각이 *급속하게 일어나는 *현재와 같은 세상에서는 *고정적인 지식을 획득하게 위한 독학법은 *부담만 클 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늘날 *인풋된 지식의 대부분은 *짧은 기간 안에 *지식으로서의 전성기가 *지나버리기 때문이다. - P7
인풋된 지식 중 상당 부분이 지극히 짧은 시간 안에 시대에 뒤떨어져 효용을 잃게 된다.
‘기억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했다면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뇌의 외부화’이다.
이는 한번 인풋한 정보를 나름대로 추상화 및 구조화환 후에 정리해 축적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단 *인풋한 정보를 *핵심만을 추려내 *통째로 *밖에 내놓는 것이다.
이때 추출한 *핵심을 *축적하는 장소는 *외부의 디지털 스토리지이며, *뇌는 *인풋된 정보의 *추상화 및 *구조화에 *초점을 맞춘다.
그럼으로써 *‘기억하는 것’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지적 전투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이 시스템의 핵심이다.
/ 지금 *’독학’이 필요한 네 가지 이유
*‘독학의 기술’이 지금처럼 요구되는 시대는 없다. 그 이유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교에서 배운 *지식은 *급속히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다.
*인풋된 지식 중 상당 부분이 *지극히 *짧은 시간 안에 시대에 뒤떨어져 *효용을 잃게 된다. - P8
이제 이런 지식이 잘 먹히는 이른바 *전성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
이런 세상에서는 *과거에 배운 *지식을 점점 *줄여나가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을 8주입할 필요가 있다. - P10
둘째, 지금의 *구조를 *근본부터 뒤집는 *혁신의 시대가 도래했다.
현대 사회는 *’산업 증발의 시대’이다. 혁신의 귀결은 *’산업의 증발’이라는 사태이다.
*혁신이란 *지금까지 있어왔던 *가치 구조를 *근본부터 *뒤집는 *변혁을 가리킨다.
즉, *혁신이 일어나면 *기업이 *지금까지 해왔던 비즈니스가 *증발해 *소멸하고 마는 것이다. - P10
셋째, *노동 기간은 *길어지고 *기업의 전성기는 *짧아진다.
하나는 *은퇴 연령의 연장이다. 지금까지 60세 전후였던 은퇴 연령이 *70~80세가 된다는 말이다.
두 번째 변화는 *기업과 산업의 *’전성기 수명’이 짧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활력을 유지하면서 사회적인 존재감을 나타내는 시간을 얼마나 지속하느냐 하는 전성기 수명이 중요하다. - P12
즉 전성기인 기업 가운데 10년 후에도 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절반 정도이며, 20년 후가 되면 10퍼센트 정도밖에 남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즉, 기업이나 사업의 *전성기’는 대략 *10년 정도라는 것이다.
한편 우리의 노동 연령은 많은 사람들이 50~60년이라는 긴 시간을 현역으로 일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종합해서 생각해보면, *향후 직장인의 *상당수는 본인의 *직업 인생에서 *큰 변화를 체험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때 *파도타기를 하듯 *전성기인 산업과 *기업의 물마루를 잘 *갈아탈 수 있는 사람과 *파도에 휩쓸려버리는 사람 사이에는 총체적인 인생의 *풍요로움에 *큰 격차가 날 수밖에 없다. - P13
넷째, *두 개의 영역을 *아우르고 결합할 수 있는 *지식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현대 사회는 또한 *영역을 넘나드는 *크로스오버 인재가 필요한 시대다. 요즈음 인재 육성이나 조직 개발 영역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이 파이형 인재의 중요성이다.
파이형 인재란 글자 그대로 *’두 개 영역의 스페셜리스트로서의 깊은 전문성’이 제너널리스트로서의 폭넓은 지식’을 떠받치고 있는 인재를 말한다. - P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