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한글 제목은 ‘중도란 무엇인가? 이다.

중도는우리가 흔히 말하는 *변증법적 유물론도 아니고 *이분법적 견해의 그 *중간도 *아니다.

‘너와 나‘, ‘선과 악, ‘옳고 그름‘,
‘진보와 보수‘와 같은 *이분법적 견해에 얽매이거나, 그 두 개의 *견해를 알맞게 *절충하거나, 아니면 두 개의 견해 사이의 그 *중간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또 중도는 단순히 *극단적인 길을 피하고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중도는 이런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는 것이다.

*중도는 **바른 견해이고, ‘**바른 생각이다.

중도는 우선 바르다‘ 라는 전제가 필요하다. 그리고 ‘바르다‘ 라는 것은 이세상의 모든 사물과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다.

사실을 사실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 바른 것이다. 자신의 생각이나 관념이나 가치관에 따라 사실을 달리 보거나 해석하는 것은 ‘바르다‘ 고 할 수 없다.

그럼 사실은 무엇일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무상無常하고, 인과 연에 따라 생겨났다 사라지는 ‘연기적 존재 혹은 상호 의존적 존재" 라는 것이다.

이 세상에는 홀로 존재할 수 있는 개체는 없다. 당신은 당신의 부모, 조상들 없이존재할 수 없고, 음식, 물, 공기, 지구 그리고 우주의 어느 것하나라도 없이 존재할 수 없다. 한 송이 꽃도 한 조각 구름도마찬가지이다.

이것이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이다. 이것이 바른 견해이다.

*‘바른 생각도 우리 인간을 포함하여 *모든 것이 *상호 의존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기억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유하는 것이다. 이것을 깨닫게 되면, 자신의 생각이나관념이나 결해를 버릴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와 너가 다르지 않고, ‘너와 꽃이 다르지 않고, 꽃과 돌‘이 다르지 않고, 돌과 집이 다르지 않고,
‘집과 별‘이 다르지 않고, ‘별과 연꽃이 다르지 않고, ‘연꽃과 나가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세상의 모든 사물과 현상은 무상하다. 이 세상의 어떤 것도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영원히 변하지 않는자아도 없다. 무상은 무아無我이기도 하다. 무상, 무아, 괴로운 것이 인생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며, 연기하고 있는 이세계가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다.

그러나 무상하기 때문에 어린아이가 자라서 소녀가 될수 있고, 씨앗이 자라서 나무가 될 수 있다.

무아이기 때문에
우리는 자유인이 될 수 있다. 이것을 깨닫게 되면, 자신의 생각이나 관념이나 견해에 집착하지 않게 된다.

무소유‘가 자신이 소유한 것을 하나씩 버리는 것이라면, ‘중도‘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견해들을 하나씩 버리는 것이다.

비우면 채워진다. "꽃은 향기로 비우고 충만하며, 나비는 춤으로 비우고 충만하네" 라고 하듯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관념이나 견해들을 다 비우면, 하나의 견해도남지 않게 된다. 바른 견해와 바른 생각으로 가득 차게 된다.

그때 우리는 *자아에 집착하지 않고 중도의 길을 걸을 수있다.
견해를 버리는 것은 자아를 버리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탐욕과 괴로움은 자아에 집착하고, 자아를 고집하고, 자신의 생각에 집착하고, 생존에 집착하는 것으로부터 비롯된다.

중도는 바로 이런 관념들로부터 벗어나 자유로 나아가는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