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을 통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20가지 경험1

1. 매혹 - 시간을 잊고 빠져드는 매력

2.도전 - 신기술 연마

3.경쟁 - vs 다른 게이머, NPC, 자신

4. 완성 - 퀘스트 종료

5. 통제 - 내 힘, 기술로 완전히 제어

6. 발견 - 새로운 장소, 해결책, 물건 발견

7. 에로티시즘 - 이성과의 교제

8. 탐험 - 세상, 환경, 퍼즐을 탐험 & 조사

9. 자기표현 - 자신을 표현, 자신의 것 창조

10. 판타지 - 현실과 다른 이야기, 세상, 캐릭터 - P68

11. 동료 의식 - 다른 게이머, NPC와의 친밀감 & 우정

12. 양육 - 다른 게이머, NPC를 돌보고 키우며 느끼는 감정

13. 휴식 - 스트레스 없는 고요한 환경

14. 가학 - 내 힘으로 다른 게이머, NPC를 괴롭히는 상황

15. 감각 - 오감으로 느끼는 즐거움

16. 시뮬레이션 - 현실의 상황을 게임 속에서 재현

17. 전복 - 사회적 역할 & 규칙의 파괴

18. 고난 - 분노, 짜증, 지루함, 스트레스, 실망감

19. 공감 - 다른 게이머, NPC의 행복 & 슬픔을 고유

20. 전율 - 위험한 상황 & 위협의 공포감 - P69

나는 게임 외에도 하고 싶은 게 많다.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나의 *다양한 욕구를 굳이 게임으로 *다 채울 필요도 없다.

게임으로 성취감을 채울 수 있지만,
*다른 *취미 생활과 *일로 채우는 것이 더 *재미있기 때문이다.

욕구 충족, 관심의 대상이 분산되면 하나에만 집착하지는 않게 된다.

만약 중독이 염려된다면 게임이라는 동굴 외에도 채워야 할 동굴을 많이 만들어둘 것을 권한다. - P69

인간은 게임하는 동안 성취, 판타지, 탐험, 발견, 자기표현과 같은 *재미를 느낀다.

*도박이 *중독성이 강한 이유는 *돈과 *운을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부 좋지 않는 게임이 *자극적인 도박의 특성을 게임 안에 숨겨놓았다.

사용자를 게임에 더 빠져들게 만드는 고약한 장치다.
교묘히 숨겨놨기 때문에 자기가 중독됐다는 것을 알아차리기도 어렵다.

도박의 성질을 품고 있는 게임은 더 이상 게임이 아니다. 게임을 가장한 도박에 가깝다. 좋은 게임과 게임을 가장한 도박을 구별하는 혜안이 필요하다. - P69

/ 게임의 분류

흔히 *놀이와 *게임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학술적으로는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게임은 *승패가 존재하나, *놀이에는 *승패가 없다. 소꿉놀이는 엄마가 저녁 먹으라고 부르러 오시면 끝이난다.

반면 *게임은 확실한 *끝이 있다.
이것이 놀이와 게임의 결정적인 차이다. - P72

*게임은 물리적 구성 형태, 진행 방식, 사용되는 도구 등에 따라 *스포츠, *보드게임, *비디오 게임, *비즈니스 게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역사에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스포츠이고, 다음으로 보드게임이 등장했다. 그리고 *스포츠와 *보드게임의 구성 요소가 응용돼 비디오 게임과 비즈니스 게임이 탄생했다.

*스포츠는 육상, 구기, 빙상, 사이클, 승마 등 *물리적인 움직임이나 *조작을 동반하는 운동을 말한다.

*보드게임은 *말판과 주사위, 말, 모조 화폐 등 *다양한 도구를 가지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테이블 위에서 하는 게임을 말한다. *장기,
체스, 카드 게임 등이 이 영역에 속한다.

*비디오 게임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이용한 게임을 말한다. 비디오 게임, PC 게임, 온라인 게임, 웹 게임, 앱 게임이 모두 비디오 게임에 속한다. - P72

- 비디오 게임

*TV와 연결되는 *콘솔형 장치에 *게임용 미디어를 넣고 플레이하는 형태의 게임.
*엑스박스XBox,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 위Wi 등이 대표적인 비디오게임이다.


- PC 게임

네트워크 연결 없이 *컴퓨터에서 *단독으로 즐기는 게임. 경우에 따라서는 키보드를 좌우로 나누는 형태나 턴 방식으로 플레이를 하며, 2인 이상이 참여하기도 한다. - P73

- 온라인 게임

*PC에 게임을 설치하고 *인터넷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해 진행하는 게임.
온라인 게임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MMORPG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수십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인터넷을 통해 동시에 같은 가상 공간에서 즐길 수 있는 롤플레잉 게임)가 해당된다.
게임 서버를 통해 전 세계의 여러 게이머와 연결되어 동시에 경쟁, 협동하며 게임을 진행한다.

- 웹 게임

별도의 PC용 게임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플레이하는 게임.
*PC 사양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990년대 유행했던 텍스트 기반 MUD 게임 Multi User Dungeon Game: 통신상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게임이 PC 통신용 브라우저 내에서 별도의 설치 없이 작동되었기에 웹 게임에 가까운 구조였다.

- 앱 게임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용 IT 기기에서 *앱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한 게임.
*온라인 게임처럼 *서버를 경유해 여러 게이머와 연결돼 플레이하는 형태가 있고, *단독으로 플레이하는 게임이 있다. 온라인 게임보다는 복잡성이 낮은 편이다.

*비디오 게임은 *게임의 구조 및 *진행 방식에 따라 액션 게임Action Game, 어드벤처 게임Adventure Game, 시뮬레이션 게임simulation Game, 롤플레잉 게임RPG, Role Playing Game, 전략 게임strategy Game 등으로 분류된다.

/ 액션 게임
: 게이머의 민첩한 동작에 따라 게임의 승패가 좌우되는 것으로, 격투 게임, 핀볼, 사격 게임 등이 포함된다.
1인칭 시점 슈팅 게임인 <배틀그라운드Battle Ground > 가 액션 게임에 해당된다.

/ 어드벤처 게임
: 탐험하며 퍼즐을 풀어나가는 형태의 게임이다.


/ 시뮬레이션 게임
: 실제 상황 또는 허구로 만들어낸 상황을 모의로 재현하는 형태의 게임이다.
게이머가 한정된 자원으로 도시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게임인 *<심시티 SimCity >가 해당된다.
시뮬레이션 게임이 극단적으로 현실을 닮게 되면 엔비디아의 *<옴니버스miniverse >처럼 *현실의 공장을 설계하거나 *운전해 보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심시티>와 <롤러코스터 타이쿤Rollercoaster Tycoon>은 경영학과나 도시공학과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 P74

/ 롤플레잉 게임
: 독창적인 *세계관을 가진 게임 속에서 게이머가 스토리에 따라 *퀘스트를 수행하고, *능력치를 키우며 성장해 가는 게임이다.

<파이널 판타지Final Fantasy > 시리즈가 대표적인 롤플레잉 게임이다.
롤플레잉 게임 중 *<리니지Lineage > 시리즈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rld of Warcraft> 시리즈처럼 *온라인에서 여러 게이머가 *함께 즐기는 것을 *MMORPG라 부른다.


/ 전략 게임
: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에 의해 상대방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것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다.

*<스타크래프트StarCraft > 가 대표적인 전략 게임이다.


/ 비즈니스 게임
: 기업의 비즈니스와 관련된 이론, 경험을 학습하기 위해 사용되는게임으로 비즈니스 시뮬레이션 게임이라고도 한다. 많은 기업에서 경영, 재무 인적 자원 관리, 조직 행동, 마케팅 등 다양한 활동을 비즈니스 게임을 통해 배운다.. - P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