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롤로그

*흥미나 *호기심은 사람을 긍정적으로 자극하는 심리 요소이며, *지루함은 사람을 막연하게나마 움직이게 하는 감정이다.

나쁜 것을 피하고 싶은 *불안 역시 사람을 가만있지 못하게 만든다. - P5

*육체노동을 많이 한 뒤엔 *정서적으로도 피로하다. *지쳤다는 느낌 또한 인간이라는 기계를 쉴 수 있게 만드는 경고등이다.

신체 활동이 아닌 경우에는 어떨까? 많은 사람들이 돈, 지위, 명예, 성공 따위를 향해 *쉼 없이 달려간다. - P5

*무한한 *욕망 추구를 *멈출 수 있게 만드는 *심리 요소도 필요하지 않을까? 심리학자들은 그것을 **만족이라고 부른다.

*스스로 *만족스러울 때 인간은 비로소 하던 일을 *멈춘다. 만족이야말로 인간을 쉬거나 다른 행동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꽤 효율적인 제동 장치인 셈이다. - P5

그러나 안타깝게도 *인간의 만족감은 *다른 정서에 비해 *지극히 *덜 *발달되었다.

그동안의 역사에서 대부분의 인간은 늘 기아상태였다. 언제나 배고팠으니 *포만감을 느끼는 *중추가 제대로 *발달했을 리 있겠는가.

(…) 이런 언어 표현이야말로 인간이 *결핍이라는 상태를 얼마나 미세하고 예민하게 감지하는지 알려 주는 증거다. - P6

우리의 뇌가 그만큼 덜 진화한 탓이니까.

물리적 배부름만이 문제가 아니다.
인간은 *만족이라는 심리에 대체로 *둔감하다. 잘 연마된 도구처럼 섬세하고 재빠르게 다가오는 *불안 심리와는 대조적이다.

싸한 느낌, 께름칙한 기분, 찝찝한 감정, 뭔가 좋지 않는 기운 등. 불안한 각종 상황에 맞춰 우리의 모든 감각은 정밀한 안테나처럼 작동한다.

그에 비해 *만족은 *표현할 단어조차 *몇 개 안 된다. - P6

만족을 모르는 건 *평범한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남의 시선을 *의식하는 *문화도 한몫하겠지만 *만족을 *모르는 *극대화된 삶이 *익숙해진 탓도 클 것이다.

기술은 발달되었고 상상으로만 존재하던 것들이 이루어졌다. *삶은 길어지고 더욱 다양화될 것이다.

*여러 직업이 요구되고 *개인의 *개성이 중요해진다. 이제 이전과는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경험한 적 없으니 *당연히 *전과 같은 인생을 *가정하며 삶을 꾸리게 마련이다.

하지만 *기존의 *극대화된 삶은 *더 이상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생태계에 안전과 *행복을 가져다주지 못한다.

**만족감을 모르는 인간은 *긴 인생에서 *길 잃은 삶을 살게 될 수도 있다. - P9

그간 잠들어 있던 *감정을 깨워서 *가장 적당한 수준으로 *연마해야 한다.

나의 불안과 결핍을 제대로 감지하고 정확히 이해하듯, *만족감 또한 다른 감정처럼 섬세하게 다듬어서 가장 친근한 심리로 만들어 내야 한다.

맥주는 얼마나 먹어야 충분한지, 여행은 1년에 몇 번을 가야 행복한지, 돈은 어느 정도 벌어야 살 만한지, 내 삶의 과목별 만족의 지점을 조심스럽게 알아차리는 것이 지금부터 우리의 과제가 될 것이다.

결국은 *과거에 비해 더 좋은 방식의 삶을 찾아냈ㄷ. 그때마다 *변화의 촉매제가 되어 주는 *역사적 사건들 또한 존재했다.

작게는 자기 내면의 감정을 인식하는 것부터 크게는 사회와 공동체에 이로운 판단을 내리는 데까지 *적정한 변화와 *적정한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