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도‘가 말할 수 있다면

도가 말할 수 있으면 늘 그러한 도가 아니다. 
이름이 이름 지을 수 있으면 늘 그러한 이름이 아니다.
 이름 없음이란 천지의 시작이고, 이름 있음이란 만물의 어머니다.
그러므로 늘 하고자 하는 것이 없어 그 미묘함을 보고자 한다.
늘 하고자 하는 것이 있어 그 귀결점을 보려고 한다.
 이 둘은 같은 곳에서 나왔으나 이름을 달리하므로 그것을 함께 현묘함이라고 일컫는다. 따라서 현묘하고 현묘하여 온갖 미묘한 것들이 나오는 문이다.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 天地之始, 有名, 萬物之母.
故常無欲, 以觀其妙 常有欲, 以觀其3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妙之門


1장은 노자 사상의 총론에 해당된다. 첫머리 여섯 글자를 통해 노자는 ‘도道‘‘물物, ‘물‘과 ‘명名, 그리고 인人과 ‘물‘의 관계 설정에 고심하면서 명명한다는 것 자체가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고,
오히려 그 본질을 해칠 수 있음을 말한다. 

노자는 도 외의 모든 것을 상대적인 것으로 간주했으니, 의식 작용에 의해서 개념화되고 고정화된 현상계 또한 개별적이고 저차원적이며 변화무쌍한 상대적 세계인 것이다. 노자는 이런 상대적 세계를 "유명有名"의 세계라 불렀으며, 이 유한한 세계 인식은 대상 사물을 의식에 표상함으로써 이뤄진다. 

노자에게 모든 경험적 세계의 인식은 전체적인 진리를 나누고 분별해서 파편적으로 개념화, 의미화하는 것에 불과하다. 현상세계는 본래 저 스스로 그러한 객관적 존재이지만, 우리의 주관적 의식지향으로 의식의 대상으로 전락하면서 그 자재성과 객관성을 잃어버린 비본래적 존재가 된다.

표현 불가능함을 역설한 노자의 말은 오히려 ‘도‘도 부득이하게 언어에 의해서만 밝혀지고 설명될 수밖에 없다는 역설로 이해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노자 자신이 표현 불가능한 진정한 ‘도‘를표현하기 위해 텍스트에 의존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노자의 "도가도, 비상도"는 의미에 간섭하는 역할로서의 언어, 중재와 안내를 맡는 언어의 기능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막대기를 물속에 집어넣으면 굽어 보이는 것은 바로 물이라는 물질이 간섭하기 때문에 그런 것처럼 언어 역시 존재를 간섭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노자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까? 언어가 존재를 가로막는 장애물이라는 주장은 언어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데서 나왔을까?  

원문의 "상무욕, 이관기묘常無欲,以觀其妙"는 사물을 이러저러한 그림이나 문자로 표현하지 않고 존재를 직접 파악하는 것이다. 

32쪽

비자연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작위는 현상의 부분만을 포착하는 ‘불완전한 인식‘과 만족할 줄 모르는 무절제한 욕구에 그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 그러한 "자연"과는 정면으로 대립된다.

노자의 관점은 형이하학적인 언어로 최고의 형이상학인 ‘도‘를 함부로 재단할 수 없다는 것이다. 노자는 언어 회의론자임이 분명하다.

언어가 소통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상식은 노자에게 완서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거짓말이 되며 그런 이유로 노자 언어의 침묵을 강요하고 있다.

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