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성과 무한 - 외재성에 대한 에세이 레비나스 선집 3
에마누엘 레비나스 지음, 김도형 외 옮김 / 그린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존하는 각각의 단일성은, 그것에서 객관적 의미를 끌어내도록 요청받은 미래에 끊임없이 자신을 바친다. 궁극적 의미만이 중요하고 마지막 행위만이 존재들을 그들 자신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이 존재들은 서사의 이미 조형된 형태들 속에서 등장하게 될 그 어떤 것에 해당한다.

도덕적 의식은 평화의 확실함이 전쟁의 명백함을 제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치적 인간의 비웃는 시선을 견딜 수 없다. 

9쪽

A. 형이상학과 초월

1. 볼 수 없는 것을 향한 욕망

"참된 삶은 부재한다." 그러나 우리는 세상 속에 있다. 형이상학은 이런 알리바이에서 출현하고, 이러한 알리바이 속에서 자신을 유지한다. 

형이상학은 ‘다른 데‘로, ‘다르게‘로, ‘다른 것‘으로 향한다. 사유의 역사 속에서 형이상학이 취했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볼 때, 형이상학은 우리에게 친숙한 세계 — 세계를 경계 짓거나 세계가 숨기고 있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땅들이 무엇이건 간에 로부터 출발하여, 즉 우리가 살고 있는 ‘자기 집‘chez. soi 으로부터 출발하여 낯선 자기-의-바깥hors de-soi 으로 나아가는, 저-la-bas 으로 나아가는 운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운동의 도달점인 다른 데 있는 것 또는 다른 것은 탁월한 의미에서 타자라 불린다. 어떠한 여행도, 어떠한 기후의 변화와 환경의 변화도 타자로 향하는 욕망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1) 랭보의 시 「지옥에서 보낸 한 철 (Une saison en enfer)의 한 구절

26쪽

형이상학적 욕망의 대상인 타자는 내가 먹는 빵, 내가 거주하는 땅, 내가 주시하는 풍것과 같은 타자‘가 아니며, 때로 -나 자신에 대한 나-자신과 같은 ‘타자‘ 이 ‘나‘, 이 ‘타자‘와 같은 ‘타자‘가 아니다. 

나는 이러한 현실의 것들로 나를 먹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것들이 내게 단순히 결핍되어 있던 것인 양, 그것들로 나를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럼으로써 그것들의 ‘타자성‘은 생각하는 나 또는 소유하는 나의 동일성으로 다시 흡수된다. 

반면에 형이상학적 욕망은 전적으로 다른 것, 절대적으로다른 것으로 향한다. 하지만 욕망에 대한 관습적 분석은 이 욕망의 독특한 요구를 잘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해된 욕망의 기초로는 욕구를 들 수 있을 텐데, 그러한 욕망은 가난하고 불완전한 존재 또는 자신의 지난 영광에서 실추한 존재를 나타낼 것이다. 그 욕망은 잃어버린 것에 대한 의식과 일치할 것이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향수고, 복귀를 갈망하는 병인 셈이다. 그러나 그럼으로써 그와 같은 욕망은 진실로 타자인 것에 대해서는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