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의 여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5
아베 코보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은 유원지에서 회전 목마를 본 일이 있을 것이다. 가짜 말과 마차는 바깥에서 보고 있노라면 끊임없이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어서 눈이 팽팽 돌 정도로 어지럽지만 정작 자신이 그 기구를 타고 있다면 어떠한 저항감도 느끼지 않는다. 일상도 마찬가지다. 반복되는 회전 속에서 우리는 삶에 무디어져 있다. 멈추지 않고서 전진 아닌 유동적인 정지를 계속하고 있다. 이 소설은 그러한 '흐름'에서 튕겨져 나온 한 남자의 이야기이다. 정체되어 있던 일상이 무너질 때, 인간은 비로소 그 존재와 의미를 실감하게 된다.

그에게는 이름이 없다. 단지 '그 남자'일 뿐이다. 왜냐하면 그는 이름이 필요없는 세계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그의 무의식에도 녹아 있어서 타인을 독립적인 개개의 존재로써가 아니라 군집으로 인식한다. 그가 취미로 하고있던 곤충 채집도 그러한 연장선 상에 있다. 우리는 곤충을 볼 때, '개미 누구누구씨'라든지 '나비 누구누구씨'라고 부르지 않는다. 단지 전체로써의 개미이며 나비이다. 그의 동료는 교사라고 명명된 인간이라는 종(種)의 아래에 위치한 하나의 무리일 따름이다.

또한 그는 자먀찐의 <우리들>에서 주인공이 타인을 의식할 때 신체적인 특징에 과장스레 주목하는 것처럼 단편적인 이미지로 상대방을 인지한다. 두툼한 입술로, 손으로, 다리로. 조각난 일부는 어떤 사람의 여러 특질 중의 하나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수한 특성 중의 일부가 곧 존재 자체가 되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다른 인간은 곤충과 같이 대표적 명제이거나 잘려나간 손처럼 부분적이다. 내가 있고 네가 있는가? 아니다. 타인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면 자아 역시 제대로 설 수 없다.

벌이 없으면, 도망치는 재미도 없다. 아베 코보는 소설의 첫 장에서 이 화두를 던져 놓았다. 결과가 원인을 우선한다. 이것은 존재에 대한 고찰이다. 이유가 있어서 존재하는가? 아니면 존재하므로 이유가 생기는가? 김춘수는 <꽃>에서, 네가 내 이름을 불러주어 비로소 의미있게 되었다고 노래하고 있다. 이름이 불필요한 공간에 살고있던 그는 인간을 이차원적으로만 받아 들일 수 있었으며 이것은 '살아있고-살아있는'게 아니라 '살아있고-죽어있는' 상태와 같다. 사물에 다름없다.

그는 실존의 이유를 찾기 위해 모래의 땅으로 찾아온다. 그의 세계에서 그 장소는 비웃음 당하기 쉽상인 환상일 따름이다. 그러나 환상은 현실로부터의 도피가 아니라 또 하나의 현실이다. 불모의 땅으로만 생각하고 있었던 모래의 공간에서 그는 단순 명료한 자연을 체득한다. 허위와 기만으로 가득찬 인위적인 삶을 영위했기에 처음에는 그 무자비한 폭력에 좌절하고 욕지거리를 내뱉기도 하지만 차츰 모래의 속성, 나아가서는 자연의 섭리를 몸과 마음으로 깨달아 합일하게 된다.

쏟아져 내리는 모래에 이성으로 숫자를 따져가며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살고있는 그녀처럼 그 흐름에 자연스럽게 몸을 내맡기는 본능을 감지한 것이다. 소금밭에서 죽을 고비를 맞았던 그 남자는 죽었다. 거짓 세계에서 실종자로 판결된 그는 이제 자신의 이름, 바로 자신의 존재와 의미를 얻게 되었다.

모래의 세계는 불모가 아니다. 모래의 여자는 생명을 잉태했다. 과거의 그가 그랬던 것처럼 버젓이 존재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 이유를 애써 찾아 나서야 하는 허위와 기만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