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번째 대멸종 시그널, 식량 전쟁 - 기후 변화와 식량 위기로 포착하는 파국의 신호들 ㅣ 서가명강 시리즈 34
남재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본 리뷰는 21세기북스의 도서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폭발적으로 늘어난 인구에 따른 무분별한 환경 파괴가 불러온 기후 변화. 그에 따라 미래에 인류가 마주하게 될 식량 위기를 다룬 책 <6번째 대멸종 시그널, 식량 전쟁>.
이제는 매년을 거듭할수록 한국도 직접적으로 이상 기후를 체감하고 있다. 해가 지날수록 더욱 심해지는 이상 기후의 변화에서 인류는 어떻게 변화에 대응해야 할까?
이 책은 총 4부의 이야기를 통해 앞선 문제에 관한 최선의 대안을 제시한다. 1부는 기후 변화가 지구촌에 주는 영향을 깊이 살펴본다. 갈수록 빨라지는 기후 변화가 농업을 위협하고, 농업의 위협은 인류의 식량 위기로 이어진다는 경각심을 깨우친다.
2부는 한국의 식량 위기 문제를 다룬다. 한국은 산업화 정책 변화와 농산물 수입 개방 등으로 인한 식량자급률의 급격한 하락으로, OECD 국가 중 식량안보 지수(FSI)가 최하위인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알아보고, 나아가 농업의 가치를 일깨우며 미래 농업의 발전 방향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3부는 미래적인 측면에서 식량 위기 문제를 살펴본다. 기후 변화 문제에서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미래 한반도의 기후 변화가 기존의 농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지구 온난화의 악화를 방어하기 위한 티핑 포인트 등의 내용을 다룬다.
4부는 최종적으로 기후 변화를 통한 식량 위기 상황에 위태로이 놓인 우리가 밥상을 지키기 위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잘 대처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지 정리하며 마무리한다.
대체로 한국에서는 먹고 싶은 것이 있으면, 사 먹든 시켜 먹든 하기 때문에 식량이 부족하거나 없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 생소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책을 읽은 후 기후 변화에 대한 무지한 인식에 대한 반성과 식량 안보 위기의 심각성을 느꼈고, 국가와 개인이 어떻게 해당 문제에 대응해야 하는지 포괄적으로 알 수 있었다.
실제적인 수치나 체감이 없어 크게 와닿지 않았던 환경, 나아가 식량 위기에 관한 문제의 심각성을 깊이 일깨워 주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문득 오늘 저녁에 놓인 쌀밥과 고기 등, 그간 당연히 먹을 수 있다고 생각했던 음식들에 관해서도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이 식탁 하나가 만들어지기 위해 쓰인 사료와 물, 그리고 환경 파괴의 정도는 얼마나 들었을지, 내가 이 식탁에 놓인 음식을 버리게 된다면 또 얼마만큼의 환경이 파괴되는 걸지 상상만 해도 아득했다.
내게 주어진 모든 것은 결국 무언가를 파괴함으로써 얻어낸 편의일 뿐이라는 사실을 크게 깨달았다. 나의 편의를 위해 정작 내가 사는 이 세상을 안일하게 파괴하고 있었다는 것에 마음이 무거웠다.
깨진 밑동에 물을 채워 넣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더라도, 내가 살아가며 세상을 조금이라도 덜 파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힘을 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