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드는 아이 - 에드워드 고리 시리즈 에드워드 고리 시리즈 10
플로렌스 패리 하이드 지음, 강은교 옮김, 에드워드 고리 그림 / 두레아이들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아이들이 이 책을 보면 재미를 느낄테지만

어른들이 보면 가슴 한켠이 따끔해지는 충고를 담고 있다.

내가 무슨 말을 해도 전해지지 않을 때, 내가 말을 하고난 후, 예상한 상대의 반응이 너무 다를 때...

나의 관심사와 상대방의 관심사가 서로 어긋나 있을 때.

우리는 줄어드는 아이뿐만 아니라 줄어드는 어른이 될 수도 있다.

 

"내 바지가 길어졌나 봐. 도대체 웬일일까요." 트리혼은 엄마한테 말했어요. "걸으려니까 바지가 자꾸 밟혀요."

"그것 참 야단이로구나." 엄마는 오븐을 들여다보시면서 말씀하셨어요. "케이크가 잘 부풀어져야 할텐데..."

아이가 줄어드는 것은 엄마 아빠에게는 관심의 대상조차 되지 못한다. 남들이 어떻게 바라볼까 걱정될 뿐이다.

 

"어떻게하면 좋지요? 남들이 뭐라고 말할까요?" - 엄마

"음, 남들이야 작아졌다고 하겠지" - 아빠

아이가 '왜' 작아지는지, 아이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보다

엄마 아빠는 남의 시선을 의식한다.

아이는 엄마 아빠의 대화를 듣다가 이내 텔레비전을 보는 걸 택한다.

자신이 원한 자신에 대한 관심이 담겨지지 않은 대화를 보는 것보다

텔레비전이 더 재미있다. 텔레비전은 적어도 엄마 아빠보다는 트리혼에게 관심을 보인다.

 

엄마는 아이가 작아졌다는 것에는 신경도 안쓰고 이것 저것 못하게 '금지'한다.

"의자 위에 올라가는 걸 엄마가 못 참는다는 거 알지, 얘야."

그래서 트리혼은 돼지 저금통을 아래쪽에 둔다. 혼나지 않고 저금통을 꺼낼 수 있도록.

그리고 트리혼은 더 작아진다. 점점 더...

부모님, 운전 기사 아저씨, 학교 선생님, 권위의 상징인 교장선생님조차도

전부 트리혼에게 생긴 문제를 마주 보려 하지도 않고, 믿지도 않는다.

 

결국 트리혼은 '포기'해 버린다. '스스로' 다시 커지는 방법을 쓴다.

그 방법은 전에 엄마가 혼을 내서 '못하게' 했던 게임을 다시 하는 것.

(금지가 아이에게 얼마나 해를 끼치는지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아이는 원래 자기 키대로 돌아왔지만, 마음은 많이 변했다.

 

이제는 얼굴이 '연두색'으로 흉측하게 변해도,

자기가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면 아무도 모를 거라는 '사랑과 관심'에 대한

포기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을 정도로 어른이 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