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개의 미생물, 우주와 만나다 - 온 세상을 뒤흔들어온 가장 미세한 존재들에 대하여
플로리안 프라이슈테터.헬무트 융비르트 지음, 유영미 옮김, 김성건 감수 / 갈매나무 / 2022년 9월
평점 :
세상을, 아니 우주를 우주이게 하는 것은 인간의 눈에 보아지 않는 것이다.
그러니 누가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말을 만들어 낸 걸까?

이 책에는 일단 100개의 미생물에 대해서만 언급을 했다. 그러나 아직 인간이 발견하지 못한 미생물은 무궁무진할 거라고 말한다. 만약에, 만약에, 그 미생물의 비밀을 다 벗겨 낸다고 하더라도 그 보다 더 이전의 생명체가 더 존재할지도 모를 일이 아닐까?
어마어마하다는 말로는 다 표현이 되지 않는 이 우주의 존재. 그 것을 있게 한 것은 (아직까지는) 미생물이다.



그 작고 작은, 인간의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존재들은 얼마나 강하고 끈질긴가?
과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우주의 비밀을 캐 내면 캐 낼 수록 신비는 점점 더 깊어만 지는 것 같다. 그 깊이의 심연을 인간이 다 캐 낸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할수 밖에 없다.
"아,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보잘것 없고 미미한 존재인가!" 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생명의 조상인(아직까지는) 루카. 세균(박테리아). 고세균. 진핵미생물. 바이러스…….
그것들은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 우주를 만들어 가고, 지배하고 있다.
그것들 중에는 이산화탄소 호수 속에서 사는 고세균에서 부터, 말라버린 염호에서 사는 것, 깜깜한 심해에서 사는 것 , 심지어 섭씨 -270도에서 사는 것. 등등도 있다.

그저 신비하고 놀랍고, 흥미진진하다. 정말이지 SF 소설을 읽는 것 보다 더 재미도 있다.
그러고도 이 책의 마지막에는 미생물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가 궁금한 사람들을 위한 추천 도서도 5쪽 분량을 할애하며 소개 한다.
생물, 물리학, 환경문제, 사회문제 뿐만 아니라 문학, 인문학적인 사유까지 하게하는 이 책이니만큼 학생들은 물론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적극 권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