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믹 쿼리 - 우주와 인간 그리고 모든 탄생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유쾌한 문답
닐 디그래스 타이슨.제임스 트레필 지음, 박병철 옮김 / 알레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라도 살면서 한 번쯤은 해 봄직한 근원적인 질문들이 들어있는,

​신비하고 놀랍고 두렵고도 화려한 이야기들이 가득 담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스믹 쿼리 - 우주와 인간 그리고 모든 탄생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유쾌한 문답
닐 디그래스 타이슨.제임스 트레필 지음, 박병철 옮김 / 알레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와 인간 그리고 모든 탄생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유쾌한 문답


내가 오래전 감명 깊게 읽었던, 아직까지 생생하게 머릿속에 남은 <오리진>의 작가, 내셔널지오그래픽 과학 다큐멘터리<코스모스>진행자인 '닐 디그래스 타이슨'과

<스페이스 아틀라스>의 작가 '제임스 트레필'이 쓴 어마어마한 질문!

우주의 시작에서부터 우주의 종말까지. 그 어마어마한 물리적 질문에서무터, 과연 우리 인간의 존재는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질문까지.

작가는 그 어렵고 신기하고 딱딱한 과학을, 유쾌하고 술술 읽히는 문장으로 거침없이 풀어나간다.


닐 디그래스 타이슨의 신간 <코스믹 쿼리>는 마치 아주 잘 짜인, 하나의 긴 코드를 따라 읽어 내려가는 기분이 든다. 그래서일까, 굉장히 트렌디하다. 한 줄 한 줄, 명확하고 명료하다.

그가 제시하는 간결한 키워드는 우리가 우주를 고민할 때 길을 잃고 방황하지 않게 만든다.

-우주먼지 지웅배-


지구는 태양계의 일부이고, 태양은 지름 10만 광년짜리 은하수에 속한 수천억 개의 별들 중 하나다. 또 은하수는 200만 광년에 걸쳐 있는 국부 은하군의 일부이며, 국부은하군은 약 7억 5000만 광년에 걸친 처녀자리 초은하단의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 마지막으로 이 초은하단은 앞서 언급한 '공동'을 에워싸고 있는 초거대 그물망의 일부다.-152쪽-

오늘의 과학이 모든 걸 다 밝혀낸 것 같지만 아직도 빅뱅 이전과 종말 이후, 그리고 우주의 크기조차도 설명하지 못한다. 다만 '철학과 종교에 맡긴다'라고 적을 뿐이다.

우리로서는 상상조차도 할 수 없는 우주, 아니 다중우주. 또 그 다중우주의 바깥에 있을 수도 있을지 모를 초 거대 세상( 뭐라고 이름 지어야 할지도 모를)이지만 빅뱅에서 출발한, 우주는 결국 또다시 하나의 점으로 압축되는 빅 크런치를 맞이할 것이라고 이 책에서는 적는다.

결국 이 책을 덮으면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거대한 세상에서 <나>는 무엇인가. 울고 웃고 성내고 절망하고 때로는 희망에 부풀어 흥분하는 <인간>이란 존재는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우리를 위로한다.< 당신은 위대한 존재>라고.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마다 자신이 미미한 존재라고 느껴지는가? 그럴 필요 없다. 누가 뭐라 해도 당신은 거대한 존재다. 왜냐고? 당신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원자는 별에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 우리는 별의 후손이다. 비유적인 말이 아니라 사실이 그렇다. 우리는 우주 안에 있고, 우리 안에 우주가 있다.

-281쪽-


아무리 호기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그 누구라도 살면서 한 번쯤은 해 봄직한 근원적인 질문들이 들어있는,

신비하고 놀랍고 두렵고도 화려한 이야기들이 가득 담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폐기된 인생 - 쓰레기장에서 찾은 일기장 148권
알렉산더 마스터스 지음, 김희진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왠지 가슴이 따뜻해지는 위안을 받게 되는 건 왤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폐기된 인생 - 쓰레기장에서 찾은 일기장 148권
알렉산더 마스터스 지음, 김희진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확실함 투성이인 인생을 살아가다 '제대로 살아내지 못한'듯한 불안감이 들 때, 이 책이 작은 위안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 /옮긴이의 말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리처드 그로브 교수가 건축 부지에서 놀다가 쓰레기 컨테이너에서 일기장들을 발견했다.

그는 일기장들을 다이도 데이비스 박사에게 기증했고, 그는 5년 후 이 수집품을 전기작가 알렉산더 마스터스에게 양도했다.

알렉산더 마스터스는 바로 이 책을 쓴 작가다.

알렉산더 마스터스는 영국의 작가이자 노숙인 활동가이며 첫 작품인 <스튜어트:거꾸로 가는 인생>을 썼고 이 책 <폐기된 인생>은 2016년에 발표한 세 번째 전기이다. 우연히 발견한 148권의 일기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서 알지 못하는 한 인물의 전기를 쓰기 위해서 사설탐정 못지않은 집요한 추적을 벌인다.

"평범한 인간이 자기 존재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매일 기록하고, 아무런 기교도 거짓된 드라마도 없이 쓰는 것, 말하자면 내면으로부터 쓰는 것."-341쪽-

그것이 일기다.

쓰레기 더미에 폐기되었던 이 일기장 역시 거칠고, 건너뛰고 앞뒤가 뒤바뀌기도 한다. 즉 날것 그대로다.

마스터스는 일기를 분석하고 연구하고 정리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일기를 연구하고 해독하고 추적하고 심지어는 필적 감정사, 진짜 사립 탐정까지 찾아간다. 그 과정은 마치 탐정소설을 읽는 듯한 긴장감과 기대감에 가독성을 더한다.

그는 왜 그렇게 주인의 이름도 신원도 알 수 없는 그 일기장에 집착을 했을까? 전기작가로서의 사명감? 호기심?

역사상 가장 다작을 한 이 일기 148권, 아니 이미 버려진 것까지 다 합치면 아마도 수천 권에 달할 것으로 생각되는 이 일기의 주인공은 그저 평범한 한 인간이었다. 아니 재미있고, 신랄하고, 똑똑하고, 직관이 뛰어나고, 친절하고, 너그럽고, ' 인생을 예술로 만들고 싶은' 희망을 가졌던 소녀였다.

하지만 그가 꿈꾸던 것들, 열망했던 것들은 아무것도 이루지 못했다. 작가의 꿈도 작곡가의 꿈도, 화가의 꿈도.

보통의 우리가 그렇듯이, 보통의 인간들의 삶이 그렇듯이, ....

"아, 영혼은 얼마나 모호한 대답을 얻는가/ 우리 이 인생에서 확실함을 열망할 때!"

334쪽



그렇다면 일기 주인공의 삶은 실패한 삶인가?

폐기된 일기장처럼 그의 인생 자체도 폐기된 것인가? 제목 그대로 <폐기된 인생>인가?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왠지 가슴이 따뜻해지는 위안을 받게 되는 건 왤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이렇게 살아도 괜찮다
민유하.제이한 지음 / 리프레시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있는 그대로의 내 삶을 사랑하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