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가 말하는, 이렇게 살아도 괜찮다
민유하.제이한 지음 / 리프레시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있는 그대로의 내 삶을 사랑하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이렇게 살아도 괜찮다
민유하.제이한 지음 / 리프레시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로움은 고통이지만 고독은 힘이다.

쇼펜 아우어는 우리에게 다정하게 말한다.

"진정한 행복이란 욕망과 성취의 크기가 아니라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내면의 평화를 찾는 데 있다.

세상의 인정과 타인의 기준에 나를 맞추는 순간 우리는 자기 자신을 잃고 타인의 삶을 대신 살게 된다."




독일의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그는 끊임없이 말한다. 고독 속에서 자신을 찾으라고.

"고독은 고립이 아니다. 그것은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오롯이 자기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가장 순수한 상태다. 혼자 있는 고요한 시간 속에서만 우리는 삶의 방향을 다시 설정하고, 억눌려 있던 감정과 욕망, 창조적 에너지를 되찾을 수 있다."


그의 철학은 솔직하다.

산다는 건 고통이고, 그러므로 궁극적으로 태어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한다. 동양의 불교사상과 닮았디.

그렇다면 빨리 삶을 마감하는 것이 좋은 것인가?

그러나 그는 결코 자살이 좋은 것이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단지 인간은 왜 고통스러운가?라는 질문을 하면서 삶의 해법을 찾는다.

그 이유를 그는 <의지>라고 본다.

인간의 본질 즉, 끊임없이 갈망하는 '의지'에서 불행이 시작된다고 본다. 해서 욕망이 크지 면 크질수록 불행도 커진다고 말하며 그 욕망에 끌려가지 말고 욕망을 다루는 법을 배우라고 한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욕망을 다스리는 법, 다시 말해 적당히 사는 삶의 자세를 권한다.

욕망은 타인의 시선, 타인의 인정을 의식함으로 생기는 것이다. 타인의 인정을 받기 위해 인간은 끊임없이 욕망을 키워나가다가 결국은 지치고 자신의 삶이 아닌 타인의 삶의 살게 된다고 말한다.

그러니까 기대를 낮추고 "이만하면 충분하다"라는 삶의 기술을 배우라고. " 당신의 삶은 이미 충분히 괜찮다"고.

있는 그대로의 내 삶을 사랑하는 법 그리고

삶의 고요함 속에서 내면의 힘을 발견할 것을 권합니다.

그렇다면 그는 적당히 현실을 합리화하면서 살라는 말인가?

기대를 낮추라는 말은 꿈을 꾸지 말라는 말인가?

그래서 101쪽에서 말한다.

"높은 꿈은 필요하지만 그 꿈을 현실의 속도에 맞게 조정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 3장에서는 결론적으로 '예술'을 답으로 제시한다.

모든 것을 관조할 수 있는 것은 예술이다. 예술과 자연을 통한 마음의 평온을 찾을 수 있다.



"지피지기는 백전 불태" (知彼知己, 百戰不殆)라는 말이 여기에도 해당되는 건가.

염세주의, 염인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

한때는 서구 형이상학의 핵심 전제를 전복하고자 한 반동적인 철학자로 비판 받았던 그이지만 고통을 알았기에 그 고통을 인정하였기에 또한 그 고통을 넘어서는 법, 이기는 법을 터득한 철학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버멘쉬 - 누구의 시선도 아닌, 내 의지대로 살겠다는 선언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어나니머스 옮김 / RISE(떠오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체가 말하는 <진정한 자유>란 무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버멘쉬 - 누구의 시선도 아닌, 내 의지대로 살겠다는 선언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어나니머스 옮김 / RISE(떠오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체의 사상은 흔히 강하고 날카롭고, 때로는 가혹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의 메시지를 깊이 들여다보면, 그 모든 독설과 도전은 결국 인간이 더 자유로워지고, 더 멀리 나아가길 바라는 강렬한 열망에서 비롯되었음을 알게 됩니다.

옮긴이의 말




넘어진 아이를 일으켜 주지 않는다. 일어서라고, 너의 힘으로 일어나 걸으라고, 채찍질한다.

끊임없이 끊임없이 닦달한다.

그의 가르침은 가혹하다.

"남들이 만들어놓은 기준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말고 그게 진짜 맞는지, 스스로 확인하고 고민해야 한다. 안주하지 말고 끊임없이 변화 하라"






그러면서 결국 세상은 생각보다 덜 무섭고, 인간은 생각보다 더 괜찮은 존재라는 것을 깨우쳐 준다.

이를 태면 넘어지고 깨지더라도 혼자 걷는 연습에 익숙해진 아이는 비로소 자유롭다.

우리는 종종 '완벽해야 한다'는 부담을 느낀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완벽함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이며 나만의 길을 걷는 것이다. 남처럼 될 필요는 없다. 당신만의 방식으로, 당신만의 속도로 걸어가면 된다.

때론 넘어지고 실수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며, 오직 나만이 지니고 있는 소중한 삶의 방식을 지켜 나가는 게 무엇보다 소중하다

-254쪽-


하지만 이것 역시 니체의 사상이고 니체의 주장이다.

그의 가르침 대로 라면 나는 나만의 질문을 해 봐야 한다.'

니체가 말하는 <진정한 자유>란 무엇인가?

"자신에 대해 완전히 아무것도 부끄러운 것이 없는 거야"라고 니체는 <즐거운 학문>에서 말한다.

"자신에 대해 완전히 아무것도 부끄러운 것이 없는 사람"이 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아직도 무언가 전능한(그것이 신이든, 자연이든) 존재를 인정하고 싶다.

인간의 나약함을 자각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책 189쪽 (감성과 이성의 균형)에 방점을 찍고 싶다.

"이성은 중요한 도구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는 만능키는 아니다. 우리가 느끼는 열정, 아름다운 언어, 예술, 종교 같은 것들은 이성으로만 설명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온다. 바로 그 '이성 너머의 것들'이 삶을 더 풍부하고 의미 있게 만들어준다. "

살다 보면 이성적으로는, 과학적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경험적인 사실들을 접하게 된다.

그것을 나는 "전능한 그 어떤 존재"의 힘이라고 믿고 싶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나는 정의를, 사랑을, 실천할 용기를 가지며, 겸허해질 수 있고, 또 내가 감당할 수 없는 세상의 불합리를 견디며 살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내가 생각하는 진정한 자유이다.

' 라인 홀드 니버'의 기도문처럼, 인간의 힘으론 도저히 해 낼 수 없는 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원 회사 3부작
임성순 지음 / 은행나무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善)에 대한 고찰이다. 소름 끼치도록 적나라한 인간의 본성. 과연 선이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