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에우 나루터 아시아 문학선 14
응웬 옥 뜨 지음, 하재홍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의 나라 메콩강. 아홉 갈래의 메콩강을 품고 있는 베트남 남부 13개 성은 찻길보다 물길의 수가 더 많은 나라. 거미줄처럼 천지사방으로 퍼진 샛강은 농토의 젖줄이 되어 1년 3모 작의 풍성한 열매를 맺어줍니다.
이곳 주민들의 새벽은 강물에 뛰어드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강물 속에서 목욕과 용변을 동시에 해결합니다.
천혜의 조건을 갖춘 남부 메콩강 일대는 자연의 풍요가 오히려 끝없는 가난을 만들고 있습니다. 지독한 아이러니입니다.(옮긴이의 말)

나로서는 사뭇 생소할 따름이다.
물 위에서, 나룻배 하나에 의지해서 살아가는 사람들.
이 책은 그러한 환경에서 정말 절대빈곤을 경험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일곱 가지의 단편소설로 이루어진 이 책의 내용들은 비슷비슷한 주제와 소재들로 이루어져 있다. 절대빈곤의 상황에선 보통 생계의 수단으로  여자들이 몸을 팔고 남자들은 그런 여자들에게 손찌검과 발길질로 가장의 권위를 세운다.
2006년 전후, 베트남 사회의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낸 이 작품들은 독자들의 마음을 아릿하게 만든다. 그런 그들의 상흔들은 우리의 역사 속에도 분명히 존재했던 것들이리라.

 

끝없는 벌판
화자인 나는 10살 여자이고 9살짜리 남동생이 있고 목수 일을 하는 아버지가 있다.
엄마는  가난을 이기지 못하고 옷감 장수를 따라 집을 나가버리고 아버지는 아내의 옷이며 소지품을 다 태워버리고 오두막집마저 태워버리고 오로지 2미터 x3미터의 거룻배 하나에 의지해서 유랑생활을 한다. 그는 아내에 대한 미움을 아이들에게 쏟아내며 아이들은 당연한듯 매를 맞는다.  그나마  근근이 생을 이어가는 그들에게 조류독감은 아이들이 나루터에서 기르는 오리마저  모두 살처분 당하게 만든다.
아버지는 이 여자 저 여자와 며칠 밤을 보내고 이내 매정하게 차버리곤 한다. 동생 디엔은 어느새 사춘기가 되고 어느 날 그들의 유랑기에 우연히 끼어든 매춘부 하나를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동생은  강렬하게 분출하는 본능을 경멸과 분노, 증오로써 스스로 제어하려 한다. 아버지가 하는 모든 행위들에서 벗어나기 위한 저항이다. 매춘부는 아버지를 돕기 위해서 몇 마리 남은 오리마저 처분하러 온 공무원을 유혹하여 오리를 구해 내는 대가로 몸을 판다. 그러나 아버지는  그런 여자를  냉정하게 조롱한다. 여자는  상처를 안고 떠나고 동생은 여자를 찾아 집을 나가고, 화자 '나'는 동네 패거리에게......

절대적인 결핍을 속에서 10대를 살아가는 두 남매. 그들에게 있어서 세상은 황량하고 끝없는 벌판일 뿐이다.

세상이 힘들어지면 언제나 희생되는 건 여성과 아이들이다.  남성들은 할 짓 다 한다. 오히려 책임 회피와 열등감에  약자들을 짓밟는다. 가슴 아픈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