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사는 게 힘들까? - 사회에 적응하기 힘든 사람들의 관계 심리학
오카다 다카시 지음, 김해용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사회에 적응하기 힘든 사람들의 관계 심리학




그레이존 (gray zone) 이라는 말이 있다.

어느 초강대국의 세력권에 들어가 있는지 분명하지 아니한 지역. 그 곳은 초강대국이 관리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이 지역을 둘러싸고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말한다.

심리학에도 그레이존이란 용어가 있다.

발달 검사상 큰 편향차를 발견했지만 발달장애는 아닌 경우도 꽤 많다. 반대로 분명 발달장애에 해당되는 증세를 겪고 있으면서도 군지수의 편향치는 전혀 없는 케이스도 있다. 이런 상태를 '그레이존'이라고 판단을 내린다. 즉,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선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들 역시 발달 장애인 못지 않게 사는게 괴롭다고 느낀다.

이때 의사는 '상태를 지켜보자'라고 말한다. 그런 상태는 안심해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팔짱만 낀 채 그냥 지켜본다는 의미가 아니다. 증상이 있는데 아무런 대처도 하지 않으면 이후에 점점 차이가 벌어지면서 문제가 심각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꾸준히 관찰하면서 지켜보자는 뜻이다.

이 책의 주제는 바로 그런 "그레이 존"에 관한 관계학이다.

그레이존의 형태는 사람 수 만큼이나 다양하다. 다시 말해서 똑 같은 그레이존이라고 해도 사람에 따라 상황에 따라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은지 해결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발달 장애에는 자폐증, 집착증(고집증), 강박증 인격장애 외에도 지각 추론 능력이 낮은사람,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 감각 과민, 그리고 마음의 문제가 몸으로 드러나는 심신증, 실행력이 떨어지는 사람. 등등 많은 종류의 장애들이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대책과 치료방법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한다.

또 역사적으로 큰 업적을 이루고 자신의 일에 성공한 많은 유명인들을 예로 들면서 그들 역시 장애와 싸우는 힘든 삶을 살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의 능력은 고르게 발달하는 것보다 울퉁불퉁해야 특별한 능력이 생기는 것 같기도 하다.

예를 들어 '시각. 공간형'이라 불리는 타입은 언어로 생각하거나 표현하는 것은 힘들어 하지만 눈이나 손발, 몸을 사용해서 표현하는 데는 능숙하다.

시인인 '가네코 미쓰하루'는 학교 수업에는 잘 따라가지 못했지만 기하학과 그림에는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네버엔딩 스토리> 같은 환상적인 아동문학의 금자탑을 세운 독일의 작가 '미하엘 엔데' 는 정말 학교를 싫어하는 불량학생이었다. 그는 고전에도, 수학에도 재능이 전혀 없어서 낙제 수준이었지만 유일하게 그림을 좋아해서 미술 성적이 좋았다. 작품을 채색하는 그 풍요로운 상상력은 시각. 공간 능력이 뛰어났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해서 최근 의학계에서는 발달장애를 장애가 아니라 뉴로다이버시티neurodiversity(신경다양성)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쉽게 말하면 사람에 따라 각각 뇌의 특성이 매우 다양하다는 뜻이다. 인구수만큼 다양한 뇌의 기능과 개성, 특징들이 있는데 단 몇 개밖에 안 되는 기준으로 장애라는 진단을 내리는 것이 한계가 많다는 데 많은 사람들이 동조한 것이다.

어쩌면 앞으로 10년 후 발달장애는 장애가 아닐 수도 있다.

ADHD의 경우에도 머지않아 진단 기준 자체가 전혀 다른 개념으로 바뀌지 않을까 하고 예상해본다. -227~228쪽

또 다시 고민 해 보는 문제이지만 과연 정상이란 어떤 것일까?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완벽할 수는 없다. 어디까지를 정상이라하고 어디까지를 비정상이라고 해야 할까?

내가 보는 모든 사람들도 그랬다. 나를 포함해서 말이다.

어딘가, 뭔가, 조금씩은 이상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그 '이상'이라는 기준이 다소 모호하기는 하지만 말이다

아무튼,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웅다웅, 울퉁불퉁 이어갈 수 밖에 없는 것이 또한 인간의 삶일게다. 다만 좀더 힘들지 않게, 좀더 불편하지 않게 살아가기 위해서 먼저 자신을 돌아보고, 서로를 인정하고 배려하는 훈련을 하면서 최선을 다 할 뿐이다.

이 책은 그런 독자들에게, 그런 불완전한 인간들에게 조금은 덜 힘들게 살아갈 수 있는 팁을 제공 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