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킹 101 : 더 나은 삶을 위한 생각하기 연습
안우경 지음, 김보람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 잘 생각하기. 제대로 생각하기를 위한 <인지심리학>

저자 안우경은 예일대학교 심리학과 석좌교수다. 그는 "더 나은 세상은 더 공정한 세상이어야 한다."라는 생각에 대책으로 "인지 심리학"을 제시한다. 주제를 "우리는 편견 없이 생각해야 한다."라고 정하고 인지심리학을 이용해서 그 대책을 제시한다.

사고의 오류는 개인의 삶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에서도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사고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제대로 생각하기가 중요하다.

그는 예일대 학생을 대상으로 " 생각하기"수업을 개설하고 다량의 예시문을 들어 강의를 하면서 자신 있게 말한다.

"인지 심리학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다."


첫째 ; 우리 자신에게 공정해야 한다.

1. 우리의 열등감을 지속시킬 이유만 구태여 찾아대거나, 불행한 일이 생겼을 때 그에 대해 최악의 해석을 생각해 내는 것은 창조적 에너지를 허비하는 일이 된다.

2. 자신의 한계를 무시한 채 처리할 수 없는 상황에 자신을 몰아넣는 것은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3. 결정을 내릴 때에는 최대한 편견 없이, 통계적 원리와 확률 이론을 기반으로 판단해야 한다.

4. 미래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면 우리 자신에게 공정하다고 할 수 없으나,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공정하지 않은 것이다.

둘째; 타인에게도 더욱 공정해야 한다.

1. 만약에 어떤 특정 집단이 특별하다고 주장을 하고 싶다면 모두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2. 이미 안다고 추측하거나 넘겨짚는 대신 상대방에게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을 원하는지 직접 물어보는 것만이 옳은 판단을 할 수 있는 길이다.



1장 유창함(메타인지)이 일으키는 착각(쉬워 보인다고 쉬운 게 아니네?)

▶우리는 알고 있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에 익숙함을 느낀다. 그러나 이러한 휴리스틱(경험치. 어림 짐작할 때 쓰는 임시방편)은 대부분 도움이 되지만 가끔은 우리를 혼란에 빠뜨릴 때도 있다 해서 이러한 메타인지에 빠지지 않으려면 

1. 직접 해 보기

2. 과신하지 않기

3. 다른 사람들의 의견 들어보지

4. 계획 오류 조심하기

5. 예상시간에 50% 추가해서 계획 세우기

6. 맹목적 낙관주의를 조심한다.

2장 확인 편향 (내가 옳다, 옳다, 옳다, 어? 틀렸다고?)

▶확인 편향(이미 우리가 갖고 있던 믿음을 고수하려는 현상)

▶최악의 인지 편향이다.

▶일종의 자기 충족 예언이다. 예) 안젤리나 졸리의 유방 절제술

▶이러한 편향은 우리를 ‘인지적 구두쇠'(직관적으로 빠르게 판단하려는 특성)로 만든다.

▶모순된 대답을 피하려면 상충하는 두 가능성에 대한 증거를 찾아보도록 질문을 구성해야 한다.

▶질문만 바꾸면 간단하게 획인 편향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확인 편향의 순기능도 있다. : 새티스파이싱(만족화) . 세렌디피(뜻밖의 재미. 우연히 찾아낸 기쁨)를 맛볼 수 있다. 

3장 원인 찾기의 어려움(칭찬하고 탓하는 걸 함부로 할 게 아닌 것이)

▶유사성, 충분성 및 필요성, 최신성, 제어성. 이런 단서들은 그저 휴리스틱에 불과하다.

▶극단적으로 어려운 문제, 해결이 불가능해 보이는 문제는 그 상황으로부터 한 걸음 떨어져서 바라보는 것이다.

▶반추하다 보면 결국 안 좋았던 상황에 다시 빠져들고 만다.

4장 구체적인 예시의 유혹 ( 누가 그랬다 하는 말에 훅 넘어가면)

▶소통하거나 설득할 때 생생한 예시를 드는 건 훌륭한 방법이지만, 그 생생한 예시가 지닌 위험성도 있다.(아는 피해자 효과)

▶예시를 통해 요점을 전달하려면, 같은 주제를 다양한 예시에 담아내야 사람들이 요점을 기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5장 부정성 편향(잃는다는 두려움 때문에 잃게 되는 것)

▶긍정과 부정 중에 부정이 미치는 영향이 더 높다.(프레이밍 효과)

▶손실 회피(내 것이라는 사실 때문에 잃지 않으려는 본능)

6장 편향 해석(신호등 노란 불이 노란색이 아니라고?)

▶인과적 각인 (알고 있던 정보가 틀렸다는 사실을 깨닫고도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는 심리)

7장 조망 수용의 한계(이렇게 뻔한 걸 왜 모르는 거야?)

▶조망 수용; 자신과 타인이 다름을 인지하고 독립적인 존재로 파악하여, 타인의 사고, 감정, 상황 등을 그 사람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다. 자신이 보고 듣고 생각하고 느낀 바가 타인과 다를 수 있음을 인식하고 독립적으로 받아들여 타인의 상태를 그 사람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조망 수용능력은 후천적 학습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타인을 의식하다 보면 상처를 받을 수도 있다.

▶인지적 마음 이론(다른 사람은 나와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는 통찰)과 정서적 마음 이론(다른 사람들은 어떤 상황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를 아는 것)을 기른다.

8장 기다려야 받는 보상이 일으키는 혼선 (미래의 '나'를 오해하는 현재의 '나')

▶지연 할인 (지연된 보상의 가치에 대한 낮잡기)

자제력 부족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거리감

▶지연 할인을 피하기 위한 방법

가상현실 체험을 한다.

긍정적인 미래를 상상한다


사고의 오류에서 벗어나, 좀 더 나은 생각으로, 좀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한 필독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