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양장) 앤의서재 여성작가 클래식 3
메리 셸리 지음, 김나연 옮김 / 앤의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이여,

내가 그대에게 진흙으로 빚어달라 청했습니까?

나를 어둠에서 끌어내달라 애원했습니까?

-[실낙원]-

인간을 창조한다는 것, 아니 생명체를 탄생시킨다는 것.그것은 오로지 신의 영역일까?

그렇다면 인간은 언제부터 신의 영역을 넘봐 왔을까? 그것은 과학시대를 맞으면서부터일까?

아니다. 에덴동산에서부터 이미 인간은 그랬다. 하나님같이 되고자 선악과를 따먹었다.

죽음을 이기고 영원히 살고자 하는 욕망은 신화시대에 길가메시 서사시를 썼고, 근대 과학은 사이보그가 만들어냈고,

인간을 뛰어넘는 존재인 AI를 탄생시켰다.

과연 인간의 욕망은 어디까지 갈 것인가? 급기야 호모사피엔스는 호모 데우스가 될 것인가?


1816년, 지금부터 200여 년 전 작가 메리 셀리는 그런 인간의 욕망을 그렸다. 인간을 창조한 인간을.

바로 창조주가 된 '프랑켄슈타인'.이 그다.


그는 말할 수 없는 기대감에 부풀어 마침내 인간을 창조하는데 성공했다.

새로운 종이 생겨나고 존재의 창조주이자 근원이 될 나를 모두가 찬양하리라. 헤아릴 수 없는 행복과 본성이 내 손에서 탄생하리라. 나만큼 후대의 감사를 받아 마땅할 아버지가 이 세상에 다시는 없으리라. 이런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무생물에 생명을 불어 넣겠다고 다짐하니, 지금 당장은 불가능해도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는 죽음으로 부패한 육신에도 새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으리란 기대감이 피어올랐다. p.74


그러나 그런 성취감과 환희도 잠시, 그의 창조물은 실패작이라는 것을 곧 깨닫게 된다. 한낱 괴물을 만들어내고 말았다.

흉측한 외모와 2.5미터의 거구. 얼음산을 뛰어넘고 90도 절벽을 오르내리는, 초능력자인지 괴물인지를 만들어낸 것이다.

괴물은 인간과의 교감을 원했으나 인간들은 그의 외모를 혐오하고 그는 외로웠다. 괴물을 만든 창조자 프랑켄슈타인에게마저 혐오의 대상이 되자 그는 복수를 꿈꾼다. 자기를 만든 창조주와 모든 인간들에게.




그러나 나는 꽃송이나 활짝 핀 잎사귀 따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예전에는 이런 풍경만으로도 기쁨을 얻곤 했으나 그때는 자연도 잊을 만큼 연구에만 정진했던 것이다. p.78

죽은 육신에 생명을 불어넣겠다는 열망 하나로 내 인생의 이 년이라는 세월을 온전히 꼬라박았다. 목적을 위해 휴식도 건강도 포기했다. 상식적이지 않은 수준의 열정 하나로 갈망하고 또 갈망했다. 하지만 목적을 이룬 지금, 내가 꾸던 아름다운 꿈은 처참히 무너졌고 숨이 막히는 공포와 토악질만이 오장 육부를 뒤집어놓을 뿐이었다. p.80

이제 그는 말한다.

나의 일화를 통해 깨달음을 얻었으면 한다.

배우고 싶지는 않아도 깨달을 수는 있을 것이다.

지식을 얻는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좁은 세상이 전부인 줄로만 알고 지낸 사람이 본성을 넘어서 한계를 뛰어넘고 위대해지고자 하는

욕망을 품은 자보다 행복한 사람이라는 것도.

p.73



사랑받고 교감하고싶은 본능은 괴물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아니 외모가 흉측하다고 해서, 우리와 다르다고 해서, 혐오하고 배제하는 인간의 본성,

또한 악의 본성이다.

그 배제된 존재는 괴물이 되거나 루저가 된다.

어쩌면 인간의 욕심이 괴물을 만들어 내고, 우리의 무관심과 배제가 루저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닐까?

인간 본성을 여지없이 파 헤치고,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하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