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5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는 무엇이고,

갈래는 몇 가지이며, 각 갈래에는 어떠한 특징과 효과가 있는가?

좋은 시가 되려면 플롯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시의 구성요소는 몇 가지이고, 성격은 각각 어떠한가?



※ 여기에서 "시"로 번역한 그리스어는 '포이에티게'로 직역하면 '만들어 낸 것, 창작물'이며 시를 지칭하는 말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서정시나 서사시뿐 아니라, 비극이나 희극도 "시"의 갈래에 넣는다.


어렵다.

책 뒷부분에 있는 '해제'를 읽고서야 어렴풋이 감이 잡힌다.

비극과 희극, 서정시와 서사시의 개념도 지금의 분류 개념과는 좀 다른 것 같다.

비극은 극본을 이야기하는 것 같고 서사시는 소설을 이야기하는 듯하다.

또 연극, 무용, 음악, 소설, 등을 모두 모방에서 나온 것이므로 '시'라고 말한다.

(내가 바로 이해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두고두고 다시 읽어봐야겠다.)

원래 '글쓰기'는 "플라톤의 상기론"에 의한 것으로 일종의 영혼의 돌봄으로써 시작된 것으로 안다. 영혼의 부조화로 인한 병을 치유해 주는 도구가 될 수 있음으로 '카타르시스'를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는 완벽한 이야기 구성의 기술을 보여준다.

플롯, 스토리텔링, 모방, 비극, 에피소드, 카타르시스 개념의 탄생. 완벽한 이야기 구성의 기술.

그 외 시의 목적, 시와 모방, 시와 진리, 또 시에 대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서로 다른 이해에 관해서까지.

그중에서도 시를 크게 비극과 서사시로 나눠서 설명하는데 특히 비극을 중심으로 시학을 전개한다.

그렇다면 비극과 서사시는 무엇을 추구하는가?

특히 비극은 감정 중에서도 공포와 연민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준다.

서사시는 플롯의 길이와 운율이 비극과는 다르다. 서사시는 공연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이야기만 들려주는 것이어서 동시에 진행되는 여러 사건과 부분을 다룰 수 있다. 주로 영웅시 운율이 어울린다.

따라서 비극은 자기 목적을 더 효과적으로 달성한다는 점에서 서사시 보다 분명히 더 우월하다.





현재의 <시론>의 시작, 시학의 본질을 알게 된 것은 크나큰 유익이었다.

특히 글쓰기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꼭 읽어야 할 필독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