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나는 이 구절이 제일 마음이 든다. 이런 생각으로 글을 쓴다면 적어도 글쓰기가 즐거워지지 않을까? 마치 어린아이가 놀이를 하듯….
'아버지와 아들과 당나귀'라는 옛날이야기처럼 눈치 보지 말고 '우리 그냥 쓰고 싶은 대로 쓰자'라고 하는 주장은 나를 참 편하게 해 주는 이야기인 것도 같지만 한편으로는 '그러면 자칫 '자기 넋두리' 내지는 '일기'가 되지 않을까'하는 의구심이 살짝 들기도 한다.
그러면서 "글쓰기에 도 기술이 있기는 하지만 그 기술이 예술보다 앞선다면 언젠가 모든 예술은 AI가 대체하고 말 것"(p 172 )이라고 은근한 우려를 나타낸다. 그렇다면 사실주의는 기술이고 추상주의는 예술이라는 말인가?
아마도 시작 부분에서 말한 "기승전결을 지키고 시작과 끝은 어떻게 해야 한다"와 같은 매너리즘에 빠지지 말라는 말로 해석해 본다. 아마도 '에세이' 라는 장르이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기가 아닐까?
부록에는 원고를 투고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까지 친절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을 읽고나면 아마도 좀더 편안한 마음으로 에세이 쓰기에 도전 해 볼 수 있을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