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게 길을 묻다 - ‘나고 살고 이루고 죽는’ 존재의 발견 (10주년 컬러 개정판)
김용규 지음 / 비아북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고, 살고, 이루고, 죽는’ 존재의 발견

숲의 철학자 김용규의 아포리즘 집 같은 자기계발서이다.

이 책을 읽으면 당장 숲으로 걸어 들어가고 싶어진다. 가서 다시 한 번 숲을, 나무를, 풀을, 꽃을, 다람쥐를, 새를, 지렁이를, 쌓인 낙엽을, 가시덤불을…. 찬찬히 훑어보고 싶다. 그 곳에 길이 있고, 철학이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읽으면 깨닫게 된다.

태어나고, 성장하고, 나로서 살고, 돌아가는. 수많은 인생의 물음에 대한 답이 있었다.

선택할 수 없는 삶으로 태어나서 내 모양의 삶을 만들며 성장하고 나를 실현하는 삶을 살고, 그리고 돌아간다는 것, 그것은 다시 태어남과 ‘이음동의’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 모든 것을 우리는 숲에게서, 나무에게서 배울 수 있다.


 

1막 태어나다/선택할 수 없는 삶.

모든 생명은 하나의 주체로서 살 권리와 능력을 이미 그 씨앗 안에 부여받고 태어난다.

인간 또한 나무처럼 부모의 몸을 빌려 어느 시간대에 태어나 그곳에서부터 자신의 삶을 시작해야 한다. 그 환경이 비옥하든 척박하든 태어난 자리에서 그의 삶은 시작되는 것이다. 힘겨운 자리에 태어난 억울함이 있다 해도 어쩔 수 없다. 즉 ‘본래의 명’ ‘숙명’이다. (탄생의 불가역성)

다행히 숙명은 생명체 스스로 선택하고 운영할 수 있는 운명이라는 장치와 맞물리며 생을 구성한다. ‘명命’을 운運영하는‘운명’이란 것이다. 삶의 방향을 선택하고 그 길을 걸어갈 수 있다는 자율과 자기 통제의 뜻을 담고 있는 말이다.

‘숲의 천이’는 초목들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공간을 점유하고 변화시켜가는 숲의 현상이다. 숲 전체가 이렇게 흘러갈 때 숲에 사는 개별 종 또한 이런 시공간의 역동 속에서 자신의 삶을 운영해 가게 된다. 자기 씨앗에 담겨 있는 본원을 확인하고 그 힘을 믿는 일이며, 자신이 살아가야 할 ‘시대와 공간’을 아는 일이다. 나를 아는 것, 내가 태어난 때와 그 여건을 아는 것, 수용 하는 것, 그리고 생명체로서 내게 주어진 놀라운 힘을 믿고 끝까지 힘차게 살아내는 것! 이것이 생명을 부여받은 자들이 할 일이다. p.59

 

2막 성장하다/ 내 모양을 만드는 삶

나를 만나기 위해서는 잃기도 하고 버리기도 해야 한다. 또한 경쟁도 해야 한다. 경쟁이 하나의 자연법칙이라고 《주역》에서는 역설한다. 그러나 그 방법이 정정당당해야 함은 물론이다. 모든 생명의 삶은 모색과 자기 조정과 상실을 누적하며 경쟁함으로 성장하고 완성된다. 떡잎을 버리지 않고 결실의 계절을 만날 수 있는 들풀이 있었던가? 묵은 가지를 떨어뜨리지 않고 제 하늘을 열 수 있는 나무가 있었던가?

그러나 숲의 경계 영역, 즉 ‘임연부’가 있음으로써 숲 전체가 더욱 풍요로워지듯이 모두가 중심이 되기를 원하기보다는 그저 저답게 살 수 있는 공간을 찾아 저답게 자라나고 저다운 꽃을 피우면 족하다.

질경이는 어려움을 기회로 바꾸는 지혜를 일궈낸 풀이다. 질경이처럼 외로움과 고난과 위험을 삶의 안주로 삼을 줄 아는 사람, 육신은 고달픔을 택할지언정 영혼은 결코 꺾지 않는 사람이 되자. p.141

 

3막 나로서 살다/나를 실현하는 삶

사랑은 서로를 위해 각자의 욕망을 덜어내어 완성된다. 나도 있으면서 그도 있는 것이 사랑이다. 혼인목과 연리목처럼.

나무들의 노동과 휴식은, 깨달은 이들의 모습을 꼭 닮았다. 미래를 걱정하여 밤을 지새우지도 않고, 과거에 대한 회한으로 불면하지도 않으며, 부질없는 욕망에 휘둘려 늦은 밤을 배회하지도 않는다. 오직 순간에 순간을 더하여 지금에 충실할 뿐이다.

단풍으로 빚어내는 잎사귀들의 색은 모두 제 본래의 빛을 되찾는 것이다. 욕망을 담보했던 엽록소를 지우고 남는 빛은 본래의 빛이다.

홀로이되 홀로이지 않는 삶, 그것은 숲의 삶이다. 그러나 인간의 욕망으로 열대우림이 사라지고 곤충과 짐승 등, 종들이 멸종하고 있다. 소멸은 소멸을 낳고 소멸은 다시 더 빠른 소멸을 낳는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소멸의 법칙은 지구상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인간마저도 소멸에 이르게 할 것이다. p.224

 

4막 돌아가다/다시 태어나는 삶

주검은 다시 숲의 다른 생명을 부양할 물질로 바뀌어 되먹임의 법칙을 따르게 된다. 이것이 바로 ‘생명의 관계망’이자 ‘물질순환’의 자연 질서이다.

초목이 그 시신을 통해 이끼를 키우고 애벌레를 키우고 새를 키우고, 마침내 흙으로 되돌아가서 산 생명의 영양분이 되듯이 우리 사람의 주겁도 미련 없는 흙이 되어 이 푸른 별의 생명을 부양해야 한다.

우리는 죽음을 두려워 하지만 죽지 않고는 새로운 생명이 태어날 수 없다. 순환이 멈춘 자리에서 생명도 멈춘다. 지구가 푸른빛의 별일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어찌 보면 죽음은 문 하나를 열고 닫는 사이에 존재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p.241.

 

 

 

정작 두려운 것은 살아있으되 삶을 헛되이 사는 것이다.

나무들은 안다.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내려놓아야 하는지,

오늘 하루를 철저하게 살아라.

그리고 죽음의 순간에는 온전히 썩어라.

한 순간도 살지 않은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