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당한 염세주의자 - 흔들리는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마지막 태도
염세철학가 지음, 차혜정 옮김 / 나무의철학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당한 염세주의자>라는 제목에 끌려서 이 책을 선택했다.

나 같은 염세주의자(명색이 기독교인이라는 내가 염세적이라는 사실이 마음에 걸려 늘 죄의식에 사로잡혀있던 터였다.)도 당당할 수 있다는 말인가? 눈을 말똥거리며 책을 펼쳤다.

염세주의! 왜 염세주의인가? 자칭 ‘염세철학가’인 작가는 프롤로그에서 그 이유를 밝힌다.

‘염세’는 하나의 출발점일 뿐, 이러한 정서를 계기로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상을, 가치를 탐색할 수 있다.

철학자들이 말하는 염세는 일시적인 기분 상태가 아니라 끝없는 지겨움과 권태, 그리고 무기력함이다. 그래서 염세대의 등장은 사회 전체가 매우 특수한 단계에 진입했음을 뜻한다.

이를태면 불계세대의 양육방식, ‘잘난 자식은 많지 않고, 굳이 고생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즉 세상에 휘둘리지 않고 굳이 다투거나 서두르지 않는 생활방식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긴다는 보장이 없는데 굳이 남들과 경쟁하며 집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불佛’은 현재의 상황에서 탈피하는 것뿐 아니라 속세, 나아가 우주 전체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좀더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내가 없어지는 경지라고 할 수 있다.

해서, ‘긍정의 힘’은 더 이상 사람들로부터 공감을 얻지 못하고, 사람들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 불합리한 지점이 있으며 자신에게는 그것을 개선할 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되었다.

이 책은 <장자>를 통해 옛 철학자들이 우주, 사회, 인생을 대하는 사고를 짚어보고 장자가 ‘염세’에서 어떻게 출세出世로 돌아서서 철저한 불계인이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흔들리는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마지막 태도. ◆

‘가장 자유로웠던 철학자 장자에게서 배우는 인생내공 10가지’

폐물이 되어도 상관없다는 마음으로 남들의 시선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비로소 보여주기 위한 삶이 아닌 자신을 위한 삶을 지속할 수 있다

▶ 더 이상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자아를 찾지 않을 때야말로 진정한 자아를 찾은 상태이다

▶ 진리가 없다’는 것은 더 이상 진리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 나의 사지를 자르고 너의 사상을 없애고 형체와 심지를 모두 쫓아버린 후에야 너는 비로소 우주와 혼연일체가 될 것이다.

▶ 인생을 한바탕 꿈으로 보는 관점이야말로 우리가 자유로워질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 자신의 의지로 상황을 주도하는 것을 멈추고, 순응하는 순간 모든 사물이 기꺼이 우리에게 접근해 우리의 가장 큰 아군이 되어준다

▶ 한 사람이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지혜는 바로 우주와 하나가 되는 것이다

▶ 성숙한 사람이란, 바로 지금에 충실한 모습이다. 이들은 이 순간도 다음 순간도 우주의 이치 안에서 살고 있다. 이들은 결코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을 생각이 없으며, 우연히 명예를 얻더라도 그것이 뜬구름과 같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에 개의치 않는다.

▶ 우주의 관점으로 볼 때 생로병사는 인간에게 주는 또 하나의 선물이다.

▶ 결국 우리 모두는 자신만의 성장 여정을 떠나야 하며, 인간의 좁은 시야를 뛰어넘어 우주와 같은 속도로, 우주의 시각으로 삶을 바라보는 법을 배우고 자기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무위 (無位) !

진정한 염세주의자가 된다는것이 무위의 경지에 이르는 길이라는 거란다. 어렵다

자는 전국시대 인물이다.

BC 770년경. 그러니까 서양사로 볼 때 구약시대다. 중국에 기독교가 AD 7세기 중반 경에 전파되었다고 하니 장자가 생존했던 때로부터 1400-1500년 뒤의 일이다. 만약에 장자가 기독교를 접했다면 어떤 철학자가 되었을까?

그가 말하는 ‘자연관’이, ‘우주관’이, ‘하나님’으로 바뀌지 않았을까? 결국 진정한 염세주의적 자유는 신을 향한, 신에 의한 자유함으로, ‘천지의 사랑’은 신의 사랑으로 대체될수도 있겠다는 나의 생각은 지나친 비약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