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종교의 역사 - 인간이 묻고 신이 답하다
리처드 할러웨이 지음, 이용주 옮김 / 소소의책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초부터 인간은 종교를 만들어 왔다.   역사 이래 인간이 만든 종교는  무수히 많다. 우리의 두뇌는 늘 자기를 의식하면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동물은 그런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사는  인간의 역사다.  그래서 이 책을 통해서 독자들은 세계의 역사와  종교사를 모두 꿰뚫을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인간의 삶에 대한 궁극적인 의미를 생각하게 되는,  속 시원하게 가슴 뻥- 뚫리는 체험을 하게 된다.
저자는 신학을 전공하고 목사와 주교를 지낸 평론가이자 작가이다. 그러나 그는  그 어떤 종교에도 편향되지 않은 엄격하고도 냉철한 자세로  모든 종교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파헤친다.
힌두교에서 불교,  자이나교, 조로아스터교 ……과학교,  에큐메니컬 운동, 계몽주의까지.나는 전혀 들어보지도 않았던 종교들을  스무 개나 넘게 소개한다.

 

그러나 작가는 말한다.
"종교에 관한 풍부한 지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 아니라 정보를 꿰어서 인간 문화의 유장한 역사를 다시 볼 수 있는 관점의 혁신을 제공하는 것이 이 책의 과제요 목적이다."라고
그러나 나는 솔직히 궁금했던  종교들을 한눈에 볼 수 있었던 것이, 그리고 그 종교들에 관한 세부적인 지식을 습득했던 점이 무엇보다도   좋았다.  나는 기독교인이지만  다른 종교들에 대한 무지함에 늘  아쉬움이 있던 중이었다.  그렇다고 모든 종교에 관한 책을 찾아보기엔  차마 시도조차 할 수 없을 만큼 벅찬 일이었기 때문이다.  한 권에  담긴 세계종교 역사라고 해서 결코 가볍다 할 수 없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또 가독성마저 좋아서  책 속으로 흠뻑 빠져들 수 있었다.  정말로 나에게는 좋은 책과의 만남이었기에  종교를 떠나서 인문학 차원에서  이웃에게 권하고 싶다

 

 

그 어떤 종교를 보드라도 그 핵심은 모두 훌륭하다.
비참할 수밖에 없는  인간 삶을 행복으로 이끌기 위해서 종교들이 생겨난다. 그들의 목표는 모두가 다 사랑이고 자비이고 구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또  모두 폭력적이다.  아이러니다.
신은 사랑인데 종교는 왜 폭력일까?
"신이라는 괴물 같은 존재가 살인광적인 종교를 만들어낸 것일까? 아니면 종교가 신을 오해하여 종교 자신의 잔인성을 신의 의지와 혼동한 것일까?"(378P)

 

 

그렇다면  신은 없는 걸까? 오로지 인간이 만들어낸 것일까?  그러면 현대의 과학만을 믿어야 할까?  계몽주의자들의 세속적 인본주의 운동이  과연  바람직한 것일까?

그렇지만 이 시간 나의 신앙관은 별반 달라지지는 않았다. 
옮긴이(이용주)는 말한다.
"내가 잘났다는 고집과 편견을 버리는 것이 믿음이다.
나보다 더 위대한 실재가 존재한다는 것을 승인하고, 내가 보잘것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자복하고, 나의 편협함을 내려놓고, 겸허하게 물러나 존재 그 자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복종이다."

그렇다. 전능자 앞에 무릎 꿇고 기도할 수 있다는 건 그래도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역시 불완전하고 나약한 존재이기에 더 큰 위대한 궁극적인 실재를 인정할 때  겸손해지고,   모든 것을 맡기고 의지할 때 비로소 평안을 얻을 수 있고 영혼이 든든해 지기 때문이다. 

 

성서는 과학이 아니라 예술이다.
성서는 인생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도록 만들어진 것이지
생명의 작동 원리에 대한 정보를 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확신은 신앙이 아니다. 신앙의 반대이다.
 여러분이 무언가를 확신한다면, 그것을 믿을 필요가 없다.
과학은 종교가 스스로를 더 잘 이해하고 또 스스로에 대해 말하는 방식을 바꾸도록 도와줌으로써 종교에 도움을 주었다.
(36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