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바다의 마지막 새
시빌 그랭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11월
평점 :
#도서제공 #서평단
이미 멸종한 큰바다쇠오리와 현존하는 펭귄은 닮았지만 아주 다르다. 주요 서식지부터 각각 도요목과 펭귄목으로 계통적으로도 관련이 없다.
이 책은 큰바다쇠오리가 멸종으로 향하는 여정을 그린다. 마지막 개체, 한 세계의 종언, 그리고 그 모든 과정을 함께하는 이종간의 우정, 연민, 성찰이 모두 담겨있다.
잔잔하고 고요하다. 마음 속에 떠오르는 사유를 건져내기 마땅한 책이다. 영원히 사라졌지만 또 영원히 함께 하는 존재에 관해 말한다.
—
주인공 오귀스트는 1835년 아이슬란드 엘데이 섬에서 일어난 큰바다쇠오리 학살 때, 우연히 날개가 부러진 채 표류하는 한 마리를 구조하게 된다.
처음에는 단지 관찰자와 연구대상,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사이다. 그러나 ‘프로스프’라는 이름을 붙여주면서, 그냥 큰바다쇠오리가 아니라 개별적인 존재, 반려새 프로스프가 된다.
이야기의 큰 줄기는 오귀스트와 프로스프가 서로를 어떤 존재로 인식하고 어떻게 각자의 삶에 들여놓는가,를 따라간다. 그들은 각자 종種의 세계로 온 ‘피조물’이 되어 서로에게 귀를 기울인다. 표정을 읽고 행동을 해석하려 품을 들인다.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서 ‘멸종’이라는 개념이 낯설던 오귀스트가 큰바다쇠오리의 멸절을 체감하는 것과 프로스프를 향한 감정의 변화가 섬세하게 얽혀있다.
큰바다쇠오리의 멸종은 막을 수 없다. 오귀스트는 점점 번민한다. 광대한 자연의 순환 법칙을 거스르는 것만 같은 멸종, 완전한 큰바다쇠오리도 인간도 아닌 프로스프의 상황, 인간으로서 기여한 모든 행동에 죄책감을 가진다.
또한 그는 우주에서 인간이 차지하는 의미가 아무것도 아님을 깨닫는다. 무엇보다도 ”나은 존재도 아니고 그보다 못한 존재도 아니었다(p.125)”고 말하면서, 단지 인간의 필요에 의해 다른 존재들에게 자행하는 일들을 끊임없이 고찰한다.
“허무, 그게 프로스프판 세계야.(p.249)“라고 생각하는 오귀스트의 모습에서 먹먹함을 느꼈다. 두려움, 불안감, 고통과 같은 인간 중심의 감정에서 벗어나서 ‘모두 비어있는’, 그래서 오히려 더는 설명이 필요없는 완전한 세계를 뜻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생명의 가치와 의미를 ‘프로스프’를 통해서 보았을 것이다.
#열린책들 #그바다의마지막새 #큰바다쇠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