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꿈을 대한민국에 가두지 마라
김동수 지음 / 재인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8. 4. 30.

다 읽음.

 

2008년의 4월이고도 마지막 날이다.

아주 뜻 깊은 날이다.

좋은 스승을 만났기 때문이다. 지은이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오직 책 제목을 보고 골랐다.

그런데 읽고 보니 결코 후회가 되지 않는다. 대 만족이다.

지은이의 선택의 기준 세 가지.

그 첫 번째는 좀 더 나은 것에 '도전'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혼자서 판단하고 지레짐작하기보다는 '소통'해 보는 쪽을 택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기준은 '원칙'을 지킨다는 것이다.

한편으로, 자기 생각을 분명하게 밝히는 것도 필요하다.

상대방의 의견을 수용할 수 없다면, '이해하고 존중은 하되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바로 당당한 글로벌 인재의 소통 방식이다.(117쪽)

나는 모든 것을 배워야 한다.^^

리더는 누구인가?

지은이의 글에 동감하며 배운다.

현명한 리더는 일을 잘 시키는 사람이다. 더 정확히는 일으 열심히하고 싶게끔 만드는 사람이다. 방향과 목표를 설정해 주고 그 실마리를 제공해 주는 사람이다.(140쪽)


요즘 '창의'성이 주제이다. 이명박 대통령께서도 '창의적 실용주의'를 기치로 세운다.

그렇다면 창조형 인재는 어떻게 길러 낼 수 있을까? "리더들부터 원칙을 지키고, 아랫사람들과 격의 없이 소통하며 기회를 주고 지켜보라."(151쪽)

창의는 어느 정도 습득이 된 후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나오는 것이다. 쥐어짠다고 나오는 것이 아니다.^^

신규 직원들은 어떻게 해야 일을 잘 할까 고민한다. 지은이의 말은 이렇다.

우선 끝장을 보는 것이요 다음으로는 올바른 방법으로 해내는 것이다. ... 끝장을 보는 태도는 다시 말해 최선을 다해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자세이다. (189쪽)

나는 한국 기업의 장점과 어두운 면을 모두 볼 수 있었다.

총수 개인의 고독한 결단이 내려지면 마치 전투를 벌이듯 일사불란하게 전 조직이 달라붙어 반드시 목표를 달성하는 모습은 대단히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과연 그것이 '미래에도 살아남을 조직'인지에 대해서는 매우 회의적이었다. 위에서 지시하면 아래에서 따라가는 구조가 마음을 무겁게 했다.(59쪽)

내가 원하는 회사는, 좋은 인재를 뽑아 잘 가르친 후 믿고 일을 맡기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잘못된 일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게 하는 회사였다.(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도둑 - 한 공부꾼의 자기 이야기
장회익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2008. 5. 4.

다 읽음.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학문하는 것이 무엇일까?

이 책을 읽어보기를 바란다.

힌트를 하나 준다면,

그저 우연한 흥미에 따라 학문을 시작하고 보니 자기가 하고 있는 학문의 내용이 점점 명확해지고 또 자기가 추구하고 싶은 문제도 더 뚜렷해지는 것이다.(203쪽)

먹고 살자고 교수, 학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알고자 하다 보니 교수가 되는 것!

 

한편, 장회익 선생의 14대조 되시는 분이 여헌 장현광 선생이시니. 허허. 늦게나마 꽃이 피고 학보가 이어지는구나^^

관심분야도 비슷하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철학 한국지식지형도 5
이승환.이동철 엮음 / 책세상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이 것 저 것 벌려 놓고 마무리 못하네!


감히 다 읽지는 못하고 관심 있는 부분만 읽었다.ㅋㅋㅋ

각 주제들에 대한 정리도 각 장별로 요약되어 있기에 그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

 
전체적인 글들의 취지에는 동감하나 각 주제별 세부 내용에 있어서는 글쎄^^

예컨대,

전일적이 아니라면 어떻게 식물의 유전자와 동물의 유전자가 호환 가능해서 반딧불의 유전자를 가진 담뱃잎이 자라날 수 있겠는가. 여름밤 담뱃잎이 강둑에서 번쩍번쩍 반딧불처럼 깜박이는 광경을 상상해 보라. 이는 생명의 전일적 현상이고 생명의 실상이 홀리즘holism이라는 것을 역설적으로 부여주는 것이다.(82-83쪽)

정말?

논자의 말대로 그러하다면 굳이 복제를 통해서라도 자식을 보아야 하나? 입양을 하면? 입양하는 부모와 입양되는 아이는 '존재의 연속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일까?


한편으로 ....의 논문은 매우 분석적이고 치밀하다고 치켜 세우시는데 그럼 다른 사람들의 논문은?(20쪽 참고) 내가 의심스럽다고 물음표를 던진 위 내용의 글도 분석적이고 치밀하다 하신 논문의 일부임.


맹자는 "불효가 셋이 있는데 그 가운데 자녀를 못 낳아 조상의 대를 끊는 것이 제일 크다", 또 ... 에서는 "오형에 속하는 죄목이 삼천 가지나 되지만 그중에서도 불효보다 더 큰 죄는 없다"

덧붙여 문외한이어서인지 이런 생각을 갖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중국철학'이 요순과 공자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지금 고구려 땅의 철학자들도 중국철학에 속하는 것 아닌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특허법의 이해
김관식 지음 / 글누리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현재 기술분야의 종주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의 특허법을 살필 수 있어 좋다.

나는 생명과학기술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 구입하였다.

우리나라에도 이처럼 각국의 제도를 이해하고, 심도 있는 연구의 글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중보건과 국제지적재산권법
임호 지음 / 한국학술정보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적재산권 분야에서도 공중보건에 대한 관심을 갖는다는데 의의가 있다.ㅎㅎ

고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