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메타버스 1
김상균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타버스는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Universe)의 합성어이다.

말 그대로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그렇기에 당연히 나의 분신인 아바타가 존재하는 플랫폼 정도가 메타버스가 아닐까 생각했다.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대표적으로 제페토, 게더타운, 심즈, 마인크래프트 정도로만 단정지었었다.

게임도 비슷하다고 생각했지만, 게임 속에서는 게임을 위한 분신이니, 현실의 나와는 조금 상관없다고 막연히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 게임 뿐만아니라 더 나아가서 현실과 이어지는 가상의 모든 것들이 다 메타버스 속한다고 이 책은 말하고 있다.

기술연구단체인 ASF에 따르면 메타버스를 네가지로 분류하는데,

증강현실(AR)세계, 라이프로깅 세계, 거울 세계, 가상 세계 이렇게 분류한다.

증강현실 메타버스는 현실에 가상을 끌고 오는 세상으로, 대표적인 예시로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 있다.

특수 렌즈만 끼면 현실에서 실제로 전투를 할 수 있는 게임을 보여주는데 대표적인 증강현실 메타버스로 볼 수 있다.

라이프로깅 메타버스는 한 마디로 정의하면 SNS라고 이해했다.

나의 개인적인 현실 삶을 복제해놓은 디지털 공간, 유투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이 모든 것이 라이프로깅 메타버스로 분류된다.

SNS는 SNS지, 메타버스라고?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어쨋든 가상공간에 현실을 공유하는게 맞긴하니 그렇게 정의된다고 한다.

현재 사라졌지만 메타버스에 가장 가까운 라이프로깅 메타버스 중 하나가 바로 싸이월드다.

내 분신이 있고, 현실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공간. 이렇게 보니 메타버스가 맞는 것 같다.

거울 메타버스는 공공연한 현실을 가상현실에 복제해놓은 디지털 공간으로 분류된다.

구글 지도나 에어비앤비, 배달의 민족이 여기에 해당되고, 대한민국에서 제일 대표되는 거울 메타버스는 바로 카카오다.

카카오는 가상의 세계지만, 현실의 택시, 선물, 쇼핑, 미용실, 패션까지 아우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상 메타버스는 현실에도 없는 세상을 재구성해 놓은 세계를 말한다.

세계관을 가진 게임들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WoW나 LoL, GPA 같은 게임은 현실 유저가 하지만, 그 안에 또 다른 세계관이 있다.

그 안에서도 다양한 경제활동과 문화활동이 이루어지고, 실제 연구 대상으로 쓰여질만한 사회적 문제도 발생한다.

현실과 관계있는 가상의 공간, 이 모든 것이 다 메타버스였다.



이 책을 읽고, 나는 우리 모두 이미 메타버스 속에서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카카오와 배민으로 생활을 영위하고(거울 메타버스), 인테리어를 위해 AR을 통해 가구 사이즈나 포스터 디자인을 확인하며(증강현실 메타버스), 그런 나의 일상을 인스타그램에 올리고(라이프로깅 메타버스), 친구들과 동물의 숲에서 만나 마을을 가꾸고 미션을 클리어하는(가상 메타버스) 삶이다.

이 중에 메타버스가 아닌게 없다.

저자는 늦기 전에 메타버스에 올라타라고 하지만, 이미 우리는 메타버스 속에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우리가 메타버스에 있다는 사실을 모를 뿐!

이 책이 주는 가장 큰 이야기가 바로 이 것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우리가 모르고 지나치는 메타버스들에 대해 학문적인 관점으로 설명해준다.

저자 김상균 작가님이 교수님이라서 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재미로 이 책을 추천하지는 않는다. 그러기엔 약간 공부하는 느낌이다.

개인적으로 메타버스가 도대체 뭐지? 어떤게 메타버스에 해당하지? 라는 궁금증이 있는 사람들이 가볍게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퍼실리테이션 - [ ] 링크하라
주현희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회사생활에 있어 원활한 소통을 이루어내는 방식인 퍼실리테이션에 대해 설명한다.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뭔가 낯선 단어였다.

영어 대화 중에서도 쉽게 들어보기 어려운 단어였고, 이 것이 도입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실 잘 알지 못하는 단어였다.

사전을 찾아보면 퍼실리테이션은 무언가를 쉽게 하는 것, 촉진하다 라는 의미로 정의되는데, 이 책에서는 퍼실리테이션을 이렇게 정의한다.

1) 모두의 아이디어나 의견을 다양하게 모으는 일

2) 집단이 효과적으로 참여하여 합리적으로 의사 결정하는 일

나는 이 책을 접하기 전에는 퍼실리테이션이라는 단어조차도 잘 몰랐다.

회의나 워크샵을 진행함에 있어 구체적으로 생각해 본 적이 크게 없던 것도 있었다.

당연한 이야기 같기도 했고, 또 모호한 내용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책을 끝까지 읽어보니 다수의 팀원들을 이끌어가는 회의에서 정답을 알려주고 대화를 이끄는 것이 아니라 답을 찾아가게끔 인도해주는 설계자가 중요하며, 이렇게 찾아 낸 답이 곧 팀원과 회사의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챕터 1에서는 퍼실리테이션에 대해서 정의하고 왜 중요한 것인지 어떤 것인지 이야기한다.

나머지 챕터에서는 구체적으로 성공적인 퍼실리테이션을 진행하기 위한 기법과 사례들로 꽉꽉 채워져 있다.


이런 사람들이 더 퍼실리테이션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1. 퍼실리테이션에 대해, 퍼실리테이터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

2. 코칭 수업을 듣는 사람


3. 회의를 이끌어가는 사람(회사의 팀장, 리더, 모임의 장, 기타)


4. 효과적인 의사결정과정에 대해 알고 싶은 사람


들에게 추천!

퍼실리테이션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사례가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특히 1번과 2번 관련 사람들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온원 - 일 잘하는 팀장의 대화력
백종화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효율적인 회의이자 대화 방법인 "원온원"에 대해 이야기 한다.

원온원이란 말 그대로 one on one, 사람 대 사람으로 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내가 느끼기엔 한국 사람들은 토론, 질문, 대화하는 걸 굉장히 어려워한다.

발표엔 굉장히 적극적이라고 생각했던 나 또한 굉장히 어려운 부분들이 많이있었다.

이 걸 느끼게 된 계기는 미국 교환학생을 갔을 때 였다.

선생님이 혼자 말씀하시는게 아니라 모든 것에 질문을 하고, 과제의 모든게 발표였던걸 보고 처음엔 굉장히 힘들어 했다. (심지어 영어로 말해야하는 부담감까지...!)

하지만 한 달만에 적응했고, 지금 나의 발표력의 상당 부분이 그 교환학생 기간에 성장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가 그 곳에서 원온원을 배웠다고 생각한다.

동등한 조건에서 대화하며 상호적으로 발표와 대화가 이뤄지게끔 유도해주었다.

그 때는 학습의 목적으로 이루어진 원온원(실제로 원은 아니었지만..)이었고, 이 책에서 말하는 원온원은 "업무"에 적용할 원온원이며, 팀원들을 이끌어갈 팀장, 리더들이 알면 좋을 내용이다.


원온원에 대한 정의와 필요성, 그리고 자세한 진행방법과 저자의 노하우가 담긴 양식, 방법이 나와있다.

첫 장을 읽을 때 까지는 그래서 어떻게 하는 건데 원온원? 이란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읽다보면 어느새 고개를 끄덕이고 있는 내 자신을 볼 수 있었다.



이런 사람들이 원온원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1. 내가 팀장이 되었는데, 어떻게 팀원을 이끌고 대화해야 할지 모르겠는 사람

2. 팀장은 아니지만 원활한 대화를 이끌어가는 법을 배우고 싶은 사람

3. 회사는 아니지만, 소속된 모임이나 친구 사이에서 대화를 통해 좋은 결과를 얻고 싶은 사람

4. 리더는 아니지만 예비 리더로써 어떻게 해야 할지 미리 배우고 싶은 사람

들이 읽으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마케터로 일하고 있습니다 - 차이를 만들어 내는 마케터들의 이야기
레드펭귄 지음 / 천그루숲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케터로 일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면 마케터가 무슨 일을 하는지 궁금해한다.

하지만 그 많은 SNS와 포털에 있는 내용들로는 조금은 부족한 내용들이 많다.

마케터가 실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주는 책은 그렇게 많지 않은데, 이 책은 다양한 분야의 마케터들이 디지털 마케팅을 어떻게 하는지 잘 이야기해준다.

특히, 잘나가는 브랜드들의 성공적인 스토리를 담는 그런 뻔한 이야기가 아니라

중소기업부터 대기업, 인하우스와 마케팅 대행사까지 일반 사람들은 구분하기 어려운 부분을 구분지어 설명해주고, 각자의 장단점을 이야기해주는 부분이 굉장히 와닿았다.

골드넥스라는 마케팅 대행사에서 마케터들이 경험하고, 만난 타사의 마케터들의 이야기를 모아두어서 이론서보다는 조금 더 자연스럽고 읽기 쉬운 책이라고 생각한다.

약간 아쉬운 점이 있다면, 설명한 김에 콘텐츠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팅, 그로스 마케팅에 대해 깊게 다뤘다면 그 부분을 궁금해한 사람들의 등을 시원하게 긁어줬을 것 같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디지털 마케터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 정보를 찾아도 찾아도 원하는 정보를 찾지 못해 답답했던 분들은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공을 부르는 운 - 보통의 당신을 성공으로 이끄는 운을 모으는 기술
노로 에이시로 지음, 이현욱 옮김 / 해의시간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성공하는 사람들한테는 언제나 큰 운이 따르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 운도 학습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있었어요. '될놈될'이라는 말처럼 될 사람들은 언제나 운이 좋고 모든 방면에서 좋은 성과가 있어보이는데, 그 사람들이 운을 부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책을 통해 알게되었어요! ​어찌보면 운은 우리의 업무와, 일상과도 아주 긴밀한 관계에 있지 않나 생각했어요. 전체적인 책의 내용은 참신하거나 특별한 내용은 아니었어요. 자기계발서의 전형적인 긍정긍정 습관기르기 책과 비슷한 느낌이었어요. ​ '운'이라는게 습관으로 가질 수 있다는 말에는 100% 공감은 못하지만 준비된 자에게 기회가 온다를 이 책을 하나로 요약해서 말할 수 있는 주제라고 생각했어요. 내용에 틀린 말은 하나도 없다는거!​ 로또 당첨 방법! 이런거를 위해 책을 보겠다는 사람은 비추입니다. 다만, 긍정적이고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는 습관을 기르고 싶은 사람들은 한 번쯤 정독해보면 기운나는 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