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좋은 사람은 아니다. 상대방에게 함부로 말을 하고, 자존심 상하는 말을 들으면 무례할만큼, 말대답을 하는, 좋은 말로 하면, 정의로운 사람이고, 나쁜 말로 하면, 참 재수없는 인간이다.  

약자 앞에서는 한없이 작아져야지, 강자앞에서는 할말을 당당히 하는 아주 멋진 사람이 되어야지. 이게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제일 먼저 들었던 생각이었다. 고등학교까지 12년, 나는 할 말을 다 하지 못하는 소심하고, 못난 학생이었기 때문에.  

그리고 대학을 가면서부터 정말로 할 말을 조금씩 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다. 문제는, 그게 강자 앞이 아니라 한없이 약한 약자 앞이라는 게 문제가 되긴 하였지만 말이다.  

지금은, 힘있는 사람 앞에서도 조금씩 말을 할 줄 되었다. 심각한 건, 그게 상대방의 가슴에 비수를 꽂는 상처를 주는 말이라는 거다.  

그리고 오늘 아주 신경쓰이는 전화를 받았다. 실은 별 거 아니지만, 계속 생각나는 걸 보면, 난 참 좋은 사람은 아니었던가 보다.  

나는 직장생활을 잘 하지 못한다. 사람들과 어울리는 걸 싫어하기도 하고, 학창시절 왕따 아닌 왕따를 너무 심하게 겪은 탓인지 타인에 대한 무관심이 몸에 배여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나도 나를 잘 알지 못했는데, 어느 날, 직원들이 모두 모여 연수를 가게 된 바로 그 날, 알게 되었다. 사람들이 별로 날 좋아하지 않는다는 걸. 실은 내가 먼저 그들을 피한 거였는데, 지금은 모든 직원들이 기피하게 된 그런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람이 되어버린 거다. 그 때 얼마나 마음이 휑했는지, 그 때 얼마나 산다는 게 이런 거구나 피맺히게 느꼈는지 당하지 못한 사람들은 이해할 수 없는 그런 감정이었다.  

그런데 요즘 그런 감정을 매일매일 느끼고 있다. 직원 회의를 할 때마다, 이리저리 지나치면서 보는 직원들의 눈빛을 마주칠 때마다, 아 나를 싫어하는구나, 라는 격한 감정을 매일 느끼고 있다. 별 거 아니야, 나는 그런 것에 신경쓰지 않아, 그렇게 말을 해봐도, 가슴이 쓰린 건 어쩔 수가 없다. 그리고 나는 좋은 선생도 되어있지 못했다.  

오늘 걸려온 한 통의 전화, 재작년 우리반 아이 엄마의 전화였다. 아이가 담임샘 때문에 너무 피곤해 하고, 학교도 가기 싫어한다는, 근데 그 전화를 받고, 혹 우리반에도 그런 아이가 있을까? 하는 무서움이 들었다. 내 입에서 나온 숱한 상처많은 말들이 아이의 가슴에 비수처럼 박힌 건 아니였을까? 입 밖에 내서는 안 되는 심한 말들을 내가 했던 건 아니였을까? 말을 주워 담을 수도 없는데, 내가 학교를 가기 싫어했던 것처럼, 아이들도 나 때문에 학교 오는 걸 싫어하지는 않을까? 하는 묘한 공포감이 들었던 거다.  

난 좋은 사람이 아니지만, 좋은 선생은 되고자 했다. 수많은 동료 직원들에게 싫은 소리를 해가면서까지, 아이들을 위해서 시간을 쪼개고 아이들을 위해 수업을 열심히 하는 선생이 되고자 했는데, 나는 이것도 저것도 아닌, 괴물이 되어버린 건 아니였을까? 동료직원들에게도 보이지 않고, 아이들에게는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는 그런 괴물이 되어있는 건 아닌가? 하는.  

죄많은 인간이구나, 죄가 많아 인간으로 태어난 무자비한 사람이구나, 내일 아이들의 얼굴을 어찌 볼까? 괴물처럼 변해버린 나와, 이미 나에게서 등돌린 아이들과 어찌 또 하루를 보내야 할까? 사는 게 참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